5일 홍진배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이 정부서울종합청사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김민국 기자

정부가 국내 정보보호산업 육성을 위해 전략 마련에 나섰다. 지난해 기준 16조2000억원인 국내 정보보호산업 시장 규모를 오는 2027년까지 30조원까지 확대하기 위해 예산 1조1000억원을 투자하는 게 골자다. 이를 통해 세계 시장 10위에서 5위권까지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가지고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을 통해 국내 기업을 지원해 보안 기기에 쓰이는 부품과 기술을 국산화하고 기업 간 협업체를 구성한다. 중동·동남아 등 신시장에 대한 국내 기업 진출 지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이날 발표를 진행한 홍진배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사이버전이 확대되면서, 사이버 보안이 곧 안보와 직결된다는 인식이 커지며 국제협력과 산업육성 정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국의 힘으로 사이버 안보를 실현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 정보보호 산업 육성을 위해 발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과기정통부는 정부 연구·개발(R&D)로 국산화 된 핵심부품인 CCTV 반도체칩(SoC)의 보급 대상 보안 기업을 10개사에서 40개사로 늘릴 계획이다. 기존에는 ‘하이실리콘’을 비롯한 중국 기업에 SoC 물량 대부분을 들여왔으나 최근 미국의 대중 제재로 공급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국내 팹리스 기업인 ‘아이닉스’를 통해 CCTV용 SoC을 만들고 있다. 향후 국내 팹리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을 통해 2세대 반도체 칩을 양산하고 국산 제품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과기정통부는 지문‧안면 중심 생체인식 성능평가 분야를 정맥·홍채 등으로 확대하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60만건 이상 대량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이마트24, CU 등과 협업해 ‘한국형 무인점포’를 구현하고 상용화를 추진한다.

홍 실장은 “현재 라이다(LiDAR) 센서 등을 이용해 기술을 구현하는 데 드는 비용을 미국보다 낮췄다”며 “각 무인 점포에 맞는 보안 옵션을 모은 점포를 구축하고 소상공인을 지원할 방침이다”라고 설명했다.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운영 방안. /과기정통부 제공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보안 기업 간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민간주도형 전략적 협업 추진연대인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도 구성한다. 이를 통해 공동‧협업형 통합보안 사업화모델, 표준화·상호운용성 확보 등을 민간이 주도하도록 유도하고 정부는 기업 애로해소와 판로‧투자‧해외진출을 지원한다.

홍 실장은 “현재 기술 유출 등의 문제로 보안 업체 간 협업이 쉽게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결속력이 강한 기업 간 협업체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국제협력 기반의 신흥 보안시장 진출 관련 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중동‧동남아 등 신흥시장 공략을 위해 중동 거점을 사우디로 재편하고, 베트남 거점(하노이) 신설을 추진한다.

홍 실장은 “중동·동남아 지역에 진출해있는 미국 사이버 보안 기업 등과 경쟁해야 해 영향력 확대가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사우디 관계자와 논의해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어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미국·독일·핀란드 등 사이버보안 강국과 공동 연구를 통해 기술 확보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시설확충, 펀드조성도 진행한다. 과기정통부는 보안 스타트업 육성(판교), 지역 보안산업 강화(부·울·경), 글로벌 시큐리티 클러스터(송파)로 구성된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를 조성할 방침이다. 기업의 안정적 기술개발과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민관합동으로 ‘사이버보안 펀드’도 조성한다. 내년에 정부 예산 200억원을 포함한 총 400억원으로 펀드를 조성하고, 2027년까지 1200억원을 모금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글로벌 보안 시장에서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선점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통합 보안이라는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기업 간 협업과 공조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라며 “이번 전략을 통해 우리 정보보호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 주도권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