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미래학자로 꼽히는 브렛 킹(Brett King)이 2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라는 주제로 영상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조선DB

“금융 산업에선 점점 더 많은 통합이 이뤄질 것이다. 기술을 우선시하고 기술을 통합하는 은행이 미래에 생존한다. 전 세계 기술 기업인 알리바바·아마존·페이스북·애플·구글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금융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관여하고 있다. 더 이상 은행만 금융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다.”

베스트샐러인 뱅크(BANK) 시리즈의 저자이자 금융계 미래학자로 손꼽히는 브렛 킹(Brett King)은 2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라는 주제로 진행된 조선비즈의 ‘2024 미래금융포럼’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버락 오바마 정부와 미국 연방준비제도·국가경제위원회에서 은행의 미래에 대한 자문을 담당하기도 했다.

킹은 2040~2050년 완성될 미래 유니버설 은행의 핵심은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대표적 사례로 JP모건 체이스는 2021년부터 핀테크 기업 30곳을 인수하고, 다른 10여개 핀테크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기술 파트너십은 1600개 이상이다. 특히 인력 중 30% 이상인 5만여명은 모두 기술 전문가로, 페이스북·엑스(옛 트위터)의 기술 분야 인력보다 많다.

킹은 “JP모건 체이스가 기술에 큰 투자를 하는 이유는 당연하게도 디지털화를 빠르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핀테크는 전통 은행보다 더 빠르고 저렴하게 디지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차세대 은행이 되는 데 있어 이러한 생태계를 수용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큰 핀테크 앤트그룹과 중국 남부의 디지털 은행인 퓨어 플레이, 유럽에 기반을 둔 레볼루트 등 기술로 무장한 디지털 은행들이 전통 은행의 고객 수를 추월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절대적인 핵심 역량은 디지털 고객 확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영국의 4대 은행이 지난 10년 동안 신규 은행에게 시장 점유율 25%를 내줬다”며 “앞으로 수익의 80~100%는 디지털 방식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퓨어 플레이는 지난 9년 동안 4억명의 고객을 확보해 중국 내 5위 은행이자 설립된 지 100년이 넘은 중국교통은행의 고객 수(1억9000만명)를 따돌렸다. 평균 대출 규모가 50달러(6만8000원)에 불과할 정도로 소액을 대출해주면서, 저소득층을 고객으로 빨아들인 결과다. 기술을 접목해 간접 비용을 대폭 낮춰 가능한 일이었다. 전통 은행으로선 불가능한 전략이다.

킹의 설명에 따르면, 세계 상위 20개 핀테크는 38억명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어 상위 20개 전통 은행(27억명)보다 30% 많다. 전통 은행의 고객 증가율은 지난 5년 동안 약 3%에 불과했지만, 같은 기간 디지털 은행은 200% 증가했다.

킹은 “디지털 은행은 절대 주거래 은행이 될 수 없고, 수익성이 없을 것이다는 주장이 틀렸다는 것은 오늘날 모두 알고 있다”며 “전통 은행보다 차세대 디지털 은행이 위험 관리에 더 나은 이유는 주로 기술로 귀결된다”고 했다.

금융 미래학자로 꼽히는 브렛 킹(Brett King)이 2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라는 주제로 영상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조선DB

킹은 유니버설 은행의 또 다른 핵심 요소로 인공지능(AI)과 이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과학을 꼽았다. 차세대 은행은 생성형 AI를 적용, 개인 맞춤형 재무 조언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킹은 “향후 AI가 우리의 재무 행동에 접근할 수 있다”며 “‘오늘 주말에 얼마를 사용할 수 있을까’ 등의 질문은 은행원이나 재무 설계사라면 바로 대답하기 불가능하지만, AI라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했다.

킹은 “전통 은행이 디지털 유니버설 은행이 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뿌리를 버려야 한다”며 “결국 유니버설 은행은 디지털 은행이다. 이를 ‘뱅크 5.0′ 세상이라고 부르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