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챗GPT 달리3

미국이 AI용 반도체 기술에 중국이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출 규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알려진 가운데, 업계에서는 중국 시장에 단품으로 직접 공급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사양 HBM 물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국내 기업들은 아직 미 규제 확정안이 나오지 않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이르면 이달 말에 공개할 대중(對中) 반도체 추가 제재에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중국 기업에 HBM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HBM3(4세대 HBM)와 HBM3E(5세대)를 비롯해 HBM2(3세대) 이상의 첨단 AI 메모리 및 이를 만드는 장비 규제가 검토되고 있다. 국내 기업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 새 규제는 중국 기업에 대한 HBM의 직접적인 판매를 제한하는 것이다. 해당 조치가 기존 엔비디아의 GPU를 기반으로 한 저사양 AI 가속기 판매 금지로 이어질 지는 확실치 않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업계는 현재까지 나온 검토안으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받을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HBM 물량 대부분은 엔비디아와 AMD의 AI 가속기를 만드는 데 공급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 시장 90%를 장악한 엔비디아에 HBM3와 HBM3E 8단을 사실상 독점 공급해 왔다. 삼성전자는 최근 엔비디아에 HBM3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다만 삼성전자의 HBM3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낮춰 개발한 GPU(그래픽처리장치) H20에만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GPU까지 새 규제에 포함될 가능성은 작다고 업계는 본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직접적으로든, 우회적으로든 삼성과 SK하이닉스의 HBM 단품이 중국 기업에 들어간 물량은 매우 미미하다”며 “이번 검토안은 현재 중국에서 AI 가속기를 개발하는 현지 기업이 향후 HBM을 획득하는 것을 막기 위한 보험적인 차원의 규제로 보여, 국내 기업의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 정부가 추가적으로 엔비디아의 저사양 GPU 중국 수출을 막을 가능성도 낮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노 센터장은 “HBM이 들어간 AI 가속기 중 중국에 수출되는 건 H20뿐인데, 사양 다운그레이드를 이미 두차례 한 이 제품까지 또 규제할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이 앞서 중국 기업에 이전 세대 HBM 제품 소량을 직접 수출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지만, 지금은 국내 기업들의 고사양 HBM 물량 대부분이 엔비디아와 AMD로 나가기 때문에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며 “설령 미국이 엔비디아 등 자국 GPU 업체에 중국 수출 규제를 강화하는 경우에도, 엔비디아 등은 여태까지 해왔던 것처럼 성능이 더 낮은 가속기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HBM 공급사 모두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HBM 캐파 할당이 끝날 정도로 이미 수요가 많아, 중국 직접 판매를 규제한다고 해도 크게 우려할 사항은 아니라고 본다”며 “중국 기업들도 현재는 규제로 민감한 HBM을 직접 받아쓰는 대신 자체 HBM을 만드는 데 열중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현재 중국 창신메모리와 양쯔메모리의 자회사 우한 신신은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자체적으로 HBM을 개발 중이다. 이들은 국내 기업들이 2016년 양산한 HBM2를 2026년까지 생산하는 걸 목표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