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은 보유하고 있는 수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체 의료용 인공지능(AI)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이 모델을 스타트업이나 연구자들에게 공급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료계가 AI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예종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재철 AI대학원 교수는 13일 오후 서울 마포구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AWC 2024 in 서울’ 기조연설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AWC 서울은 디지틀조선일보와 더에이아이(THE AI),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가 주최·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하는 AI 콘퍼런스다.
예 교수는 “AI는 기능 고도화를 위해 인터넷에서 모은 정보를 학습해야 한다”며 “마찬가지로 의료 특화형 AI는 병원에 있는 데이터를 모아서 학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량의 데이터를 학습한 의료용 AI는 긴급한 상황에 사람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해결책을 내놔 도움을 줄 것”이라며 “MRI 영상 등 검사 결과 자료를 직접 분석해 의사들에게 간단한 조언을 해주는 것도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예 교수는 “현재 AI 생태계의 한 축을 스타트업이 도맡고 있는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데이터 수집이 절실하다”며 “스타트업들은 대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구매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시장을 키우고 있는데, 의료 업계에서는 이 역할을 대규모 병원이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예 교수는 “의료용 AI 생태계가 확장되고 시장이 활성화하면 다양한 기업들이 앞다퉈 헬스케어 플랫폼을 내놓으며 의료 수준도 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