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정부 행정업무에 접목되는 ‘거브테크’ 시대가 다가왔다. 영국 정부가 처음 사용한 거브테크란 공공 데이터와 AI를 활용해 공공 부문의 대국민 서비스 등에 제공하는 새로운 방식의 서비스다.
17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올해의 주요 거브테크(GovTech) 트렌드를 발표하면서, 오는 2026년까지 전 세계 정부 기관의 70% 이상이 인간의 행정 의사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AI를 사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생성형 AI는 향후 2년 동안 성숙기를 거쳐 향후 정부 서비스 제공을 개선하는 도구에 결합될 것으로 전망된다. 가트너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5%에 불과한 위협 탐지 및 사고 대응용 AI 구축 비율이 오는 2028년 7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러한 AI 구축은 직원 대체가 목표가 아닌 역량 보강이 목적이란 게 가트너의 설명이다. 가트너는 “AI는 새로운 사이버 보안 기반을 개발해 정부 기관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토드 킴브리엘 가트너 VP 애널리스트는 “세계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늘면서 정부는 그 어느 때보다 더 신속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국민의 요구를 충족해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며 “정부 기관이 조직 전반적으로 AI를 채택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도 거브테크 흐름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2월부터 AI 기술을 행정업무에 적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에게 더욱 촘촘하고 품질 높은 행정·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행안부는 우선 네이버·KT·LG·SKT 등과 협력해 AI가 보도자료, 연설문 등 문서의 초안을 작성해주고, 법령·지침 등을 기반으로 정보를 검색해 답변해주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올해 관련 서비스를 실증한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중앙부처, 지자체 일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AI 행정서비스를 시범 운용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거브테크 창업기업 지원사업’을 올해 신규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도 지난 3일 AI를 광역행정업무에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오는 2026년까지 3년간 ▲신뢰받는 AI 행정기반 마련 ▲AI 이용환경조성 ▲AI 행정혁신 가속화 등 3대 전략에 206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민 생활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구체적으로 신고 음성을 분석해 긴급도와 위험징후 파악하는 AI 기반 ‘119 종합상황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온라인 불법‧유해 콘텐츠 AI 자동 검출 시스템’를 개발할 예정이다. 120 스마트 인공지능 상담센터도 구축하고, 내부 행정데이터 등 6000여 종을 분석해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생성형 AI기반 공공데이터 챗봇’도 신규로 개발한다. AI 안전망을 조성하기 2026년까지 안전취약지역에 설치된 모든 CCTV를 지능형시스템으로 전환한다.
또 서울시는 공무원들이 AI를 업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올해 1300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업무 생산성 향상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