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 포스텍 교수가 7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서 열린 ‘AWC 2023 in 부산(이하 AWC 부산)’에서 강연하고 있다. /김민국 기자

공공기관의 보안과 민원 서비스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도입을 통해 공공시스템에서 악성 소프트웨어의 이상 행위를 쉽게 탐지하고 수천건의 민원 유형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종 포스텍 교수는 7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서 열린 ‘AWC 2023 in 부산(이하 AWC 부산)’ 강연자로 참석해 “AI의 심층 지능망 기능을 이용해 공공기관의 보안 시스템을 강화할 수 있다”이라고 말했다.

심층 지능망은 정보를 학습한 AI가 특정 문제에 대해 스스로 결과를 도출해내는 기능을 말한다. 현재 AI의 심층 지능망 기능은 영상인식, 자동 대화 인식, 영상 미술화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김 교수는 “악성 소프트웨어나 랜섬웨어에 대한 정보를 학습시키면 AI가 스스로 정보통신망에서 비정상 행위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며 “이를 활용해 공공기관이나 금융 서비스 기관 등에서 개인정보 유출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AI의 심층 지능망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훈련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김 교수는 “AI에 오류가 들어간 훈련 정보를 일부러 제공한 뒤 스스로 학습 방법을 찾게끔 하고 있다”며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게 하는 백도어 공격을 통해 잘못된 정보를 걸러내도록 하는 방식도 채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같은 세션의 강연자로 참석한 고대식 위세아이텍 전문위원은 공공기관의 민원 서비스 강화를 위해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은 “민원 서비스인 정부24의 경우 하루에 5000건 이상의 민원이 쏟아지고 증명서 발급 요청도 매우 많은 상태”라며 “단순 인력을 통해 모든 건을 소화하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고 위원에 따르면 현재 대전광역시나 고용노동부를 비롯한 기관에서 AI 프로그램을 채택한 상태다. 그는 “대전광역시는 AI 기반 CCTV를 통해 도시철도 역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전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했다”며 “고용노동부는 AI가 구직자의 이력서를 단어 단위로 분석하고 일자리를 매칭해주는 프로그램을 사용 중이다”고 말했다.

정석찬 동의대학교 그랜드ICT 인공지능 연구소장은 AI 기술이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서비스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소장은 “현재 23개 지자체가 SK텔레콤과 함께 AI 스피커를 독거노인에게 지급한 상태”라며 “‘살려줘’라는 단어를 말하는 것만으로도 구급차를 부를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후 AI 기능이 고도화되면서 채택 기관의 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