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모 KT대표이사(왼쪽부터),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이사. /연합뉴스

SK텔레콤과 KT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 대역 추가 할당 경매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LG유플러스는 과기정통부에 5G 3.40~3.42㎓(기가헤르츠) 대역 주파수 20㎒(메가헤르츠) 폭 추가 할당을 요청했는데, 과기정통부가 이를 수용하면서 SK텔레콤과 KT도 주파수 추가 할당 경매에 참여하겠다는 것이다.

경매 대상 대역이 인접한 LG유플러스 측이 유리하다는 데 무게가 실리지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가 약 70개 이상의 기간통신사업자 모두에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다. 반발해왔던 경쟁사들이 ‘쩐의 전쟁’을 시작하면 LG유플러스가 예상을 웃도는 금액을 써내야 할 처지에 몰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5G

◇ SKT·KT, 5G 주파수 추가 할당 경매 참여 검토

7일 SK텔레콤과 KT 등에 따르면 양사는 최근 과기정통부가 추가 할당하기로 발표한 5G 주파수 경매 참여를 검토 중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정부와 업계가 충분한 협의를 통해 공정한 경쟁환경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라고 했다. KT 측은 “다각적으로 검토가 필요하다”라면서 “아직 (경매) 참여 여부에 대한 입장은 별도로 없다”라고 했다. 양측 모두 추가 할당 주파수에 대한 경매가 열린다면 참여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풀이된다.

애초 SK텔레콤과 KT는 지난 7월 LG유플러스가 과기정통부에 요청한 5G 주파수 추가 할당에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해왔다. 지난 2018년 이동통신 3사가 경매를 통해 확보한 주파수를, 수년 뒤 특정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추가로 할당하는 것은 ‘특혜’라는 논리를 펼쳤다. 추가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면 굳이 ‘고(高)비용’을 써내 가면서 주파수를 할당받지 않았을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례적으로 공식 입장까지 낸 통신사의 반발에도 과기정통부는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한 연구반을 통해 추가 할당을 결정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지난 7월부터 12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연구반과 검토하며 중립적 결정을 내기 위해 노력해왔다”라며 “적지 않은 시간을 투자했고 시장 경쟁 환경에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고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과 KT 측은 우선 과기정통부의 결정을 따르겠다는 밝혔다.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와 날을 세워 득을 볼 게 없다는 계산도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통신사 한 관계자는 “주파수 추가 할당으로 인한 서비스 품질 개선 효과는 뚜렷하다”라면서 “기회가 있다면 주파수 할당 경매는 일단 참여하고 보는 게 이득이다”라고 말했다.

5G 투자에 나서는 통신 3사. /연합뉴스

◇ LGU+, 추가 할당 길은 열었는데… 경쟁사 경매 참여 시 난감

과기정통부의 추가 할당 요청 수용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이번 결정은 이동통신사 요구로 추가 할당이 결정된 첫 사례다. 통신업계는 추가할당을 요청한 LG유플러스의 낙찰을 낙관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과기정통부는 국내 기간통신사업자 모두에 경매 참여 가능성을 열어놨다. 올해 8월 기준 국내 기간통신사업자는 총 75개사다. 여기에 최근 5G 특화망 신청과 함께 기간통신사업자 신청도 한 네이버클라우드도 있는 만큼 기간통신사업자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SK텔레콤과 KT가 실제 추가 할당 경매에 뛰어든다면 LG유플러스의 계산이 복잡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눈치싸움이 불가피한 경매에서 불리한 쪽은 LG유플러스 쪽이기 때문이다. 이미 2018년 100㎒ 대역폭을 확보한 SK텔레콤이나 KT는 추가로 20㎒ 대역폭을 굳이 더할 이유는 없다. 80㎒ 대역폭만 받은 LG유플러스가 급하다는 것이다.

앞서 SK텔레콤과 KT는 각각 1조2185억원, 9680억원을 써내 100㎒ 대역폭을 받았고, LG유플러스는 약 8000억원으로 80㎒ 대역폭을 할당받았다. 통신사 한 관계자는 “추가 할당을 신청한 쪽은 경매에 경쟁사가 참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라며 “과거보다 높은 금액을 써내야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할당 방식과 할당 대가 등은 연구반 논의를 거쳐 결정하기로 했다. 연구반은 추가할당을 검토한 인원 구성 그대로 진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할당 검토만 반년가량이 소요됐고, 공청회 등의 절차도 거칠 것으로 관측되는 만큼 실제 할당 추진은 내년에야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