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대선)를 앞두고 글로벌 에너지·환경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에너지 안보, 기후 위기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대응 방안은 차이가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비롯한 전기차 지원 정책 등을 기반으로 청정에너지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화석연료 관련 투자를 늘리고, 바이든 행정부가 강조한 청정에너지 육성은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6일(현지 시각)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드림시티 교회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 행사장에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등장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식 행사에 참석한 것은 유죄 평결 후 처음이다. /AFP 연합뉴스

트럼프 행정부 때 에너지 고문을 지낸 조지 데이비스 뱅크스 전 특별보좌관은 “백악관, 상·하원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있는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며 “선거는 모든 정책 분야에 영향을 미치지만, 점점 당파적으로 변해가는 미국의 에너지·환경 정책은 더 많은 변화를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주요 기업 및 기관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는 상황을 가정해 한국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지난 2016년 미 대선 당시엔 한국이 트럼프노믹스(트럼프 정부의 경제정책)를 사전에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데이비드 뱅크스 전 트럼프 행정부 에너지·환경 특별보좌관.

뱅크스 전 특별보좌관은 “양당은 미국 에너지 및 환경 안보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에 동의하지만, 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의견이 갈린다”면서도 “중국 리스크(위험요인)가 부각되면서 미국의 정책 지형은 에너지, 기후, 무역, 공급망 정책에서 초당적인 협력을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기도 하다”고 말했다.

뱅크스 전 특별보좌관은 이달 27일 열리는 ‘2024 미래에너지포럼’에서 미 대선 결과에 따른 에너지 정책 기조와 한국의 대응 방안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 관련 기사

[알립니다] 美 대선·전쟁·AI… ‘에너지 내셔널리즘’ 해법은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4/06/10/3NRUE2D2RRFDXHGECQQDT37PU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