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034730)그룹 회장이 “한·일 경제 협력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주최로 도쿄 데이코쿠 호텔에서 열린 ‘제29회 아시아의 미래’ 포럼에 연사로 나와 이같이 말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 14일 도쿄 오쿠라호텔에서 열린 제56회 한일경제인회의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한일경제협회 제공

최 회장은 이날 한·일 경제협력이 필요한 이유와,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한 내용을 직접 제안했다.

그는 “최근 한국과 일본이 저성장의 함정에 빠져 있고, 두 나라 모두 수출이 중요한데 자유무역 체제가 어려운 상황이다. 환경과 직결되는 에너지 문제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존의 규칙이 통하지 않는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서도 협력이 긴요하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양국이 유럽연합(EU)과 같은 단일 시장 형태의 경제협력체로 발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국 간 관세를 철폐하면 양국 산업서 시너지 효과가 일어나고, 궁극적으로 국내총생산(GDP) 등에서 비약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한·일 각각의 시장만으로는 경제권 크기가 작다. 두 국가가 결합하면 국내총생산(GDP)이 6조달러(약 8193조원)가 넘고, 3만달러 수준의 고소득자가 2억명가량 되는 시장이 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경제 안보 등 언제까지 다른 나라가 정한 규칙에 따라 움직일 수는 없다. 시장을 키워 한·일이 규칙을 주도하자”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기업 등 민간 부분에서 협력해 성과를 내자고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한·일이 액화천연가스(LNG) 공동구매로 비용을 아끼고, 수소·암모니아 등 청정에너지의 공급원을 공동으로 개발하자고 말했다.

아울러 최 회장은 미국 실리콘밸리에 쏠려 있는 스타트업 인프라를 한·일에서 공동 구축하고, 양국의 사회 문제로 꼽히는 고령화를 반대로 활용해 새로운 실버 사업을 진행하자는 제안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