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침체로 인한 판매 부진과 재고 증가 영향으로 국내 부실기업 수가 대폭 늘어났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공개한 ‘기업부실예측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업을 제외한 전체 외감(외부감사) 기업 3만6425개사 중 11.7%인 4255개사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22년 실제 부실기업 수(3856개사)보다 10.3% 늘어난 것으로, 2019년 이후 5년 내 최대치다. 외감 기업은 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이다.
부실기업은 한경협이 분석을 시작한 2019년 2508개사(7.9%) 이래 2020년 3077개사(9.2%), 2021년 4012개사(11.2%), 2022년 3856개사(10.2%) 등을 기록했다. 기업 평균 부실 확률은 2019년 5.33% 이후 매년 증가해 지난해 7.92%에 달했다. 평균 부실 확률이 증가했다는 것은 기업들의 전반적인 재무 지표가 악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실 확률 상승을 견인한 업종은 부동산·임대업과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으로, 두 업종의 부실 확률은 각각 21.4%로 분석됐다. 다음으로는 교육서비스업(14.2%)과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3.9%), 운수업(13.4%)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부실 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으로, 지난 2019년 2.6%에서 2023년 기준 6.0%로 최근 4년 새 두 배 넘게 올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 증가는 금융과 실물경제 간의 리스크를 확대 재생산해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부실 위험을 경감하기 위해 자금조달 금리를 인하하고 기업활력제고법상의 사업재편 제도를 활용한 선제적인 사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