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0년 가수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를 시작으로 각종 챌린지가 크게 유행하며, 숏폼 콘텐츠 플랫폼 틱톡이 새삼 주목받았다. 문자 그대로 ‘짧은 영상’을 의미하는 숏폼(Short-Form)은 보통 평균 15초에서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는 콘텐츠로 정의된다. 틱톡은 영상 제작과 공유가 쉽고, 빨리 유행한다는 특성 덕분에 출시 초기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코로나19 당시 콘텐츠 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전 세대의 사랑을 받는 콘텐츠로 부상했다. 대중의 사랑을 받는 숏폼의 인기는 기업들의 이목을 끌었다. ‘콘텐츠 공룡’인 메타(옛 페이스북)와 구글(유튜브)은 잇달아 인스타그램·페이스북 릴스, 유튜브 쇼츠 등 숏폼 서비스를 내놓았고, 이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했다. 또 이용자가 곧 소비자인 숏폼 플랫폼의 광고·홍보 효과를 주목한 많은 기업이 숏폼 마케팅에 적극 나섰다. ‘이코노미조선’은 숏폼 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주도해온 플랫폼, 크리에이터 등을 만나 이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해 봤다. [편집자 주]
순이엔티는 ‘원정맨’ ‘창하’ ‘시아지우’ 등 유명 틱토커(tiktoker·틱톡 크리에이터)가 소속한 틱톡 협업 MCN(Multi Channel Ne-twork·다중 채널 네트워크)사다. 이 회사가 관리하는 틱토커 85명의 팔로어 수 총합만 3억1500만 명에 달한다.
박관용 순이엔티 MCN 사업본부장은 “단순히 크리에이터 관리, 육성뿐만 아니라 크리에이터 채널력과 콘텐츠를 비즈니스적으로 더 잘 제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조선’은 5월 24일 박 본부장과 만난 숏폼 콘텐츠 시장 현황과 전망에 관해 얘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숏폼 콘텐츠 시장을 주목한 이유는.
”원래 순이엔티는 오프라인 문화 콘텐츠를 주로 다루는 회사였는데,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문화가 급성장하는 추세에 맞춰 이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숏폼 시장은 이미 오랜 기간에 걸쳐 고착화한 롱폼 시장보다 (후발 주자가) 좀 더 빠르게 진출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 숏폼은 비용적으로도 소위 ‘가성비’가 좋은 콘텐츠다. 여기에 온라인 콘텐츠 주 소비층인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에 대한 광고주의 니즈도 커질 것으로 판단했다.”
콘텐츠와 크리에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나.
”콘텐츠의 결을 두고 왈가왈부하는 것은 유의미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크리에이터별 맞춤형 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가 단순히 영상을 업로드하는 것에 그치기보다 자신의 콘텐츠로 관련 사업이나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이를 위해 크리에이터가 목표 설정을 명확히 하도록 돕는다. 유명 인플루언서가 되고 싶은 건지, 콘텐츠를 통한 사업이 우선인지 등에 따라 매니징 방향이 달라진다.”
코로나19 전후 숏폼 콘텐츠 시장에 변화가 있나.
”명확하게 달라졌다.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광고주에게 틱톡 자체나 틱톡 마케팅에 대해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또 기업이 틱톡 마케팅에 투입하는 예산 규모도 확실히 커졌다.”
인기 숏폼 콘텐츠의 조건은 뭘까. 올해 트렌드는.
”소비자가 완주하는, 사랑받는 영상의 조건을 정리하면, 재밌고, 익숙하고, 트렌디한 것이다. 단순히 웃긴 것보다는 영상 퀄리티가 높아 시각적 재미가 있거나 교육적인 재미가 있는 영상, 익숙한 장소나 음원으로 자신만의 색깔을 표현하는 콘텐츠다. 또 MZ 세대 소비 특성상 숏폼 트렌드도 빠르게 변화하는데, 이를 제때 캐치해 내 콘텐츠에 제대로 활용하는 능력도 중요하다. 올해 숏폼 콘텐츠 전반에 통하는 트렌드는 ‘공감’이라고 생각한다. 틱톡에서 최근 ‘이어 찍기’ 같은 영상이 사랑받는 것도 ‘나도 저렇게 할 수 있겠다’라는 공감이 깔려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숏폼 크리에이터와 콘텐츠 시장 전망은.
”소비자가 콘텐츠를 소화하는 속도가 굉장히 빨라졌고, 새 콘텐츠에 대한 니즈도 크게 늘었다. 즉, 영상을 만들 사람은 계속 필요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숏폼 콘텐츠 시장은 아직 블루오션이라고 본다. 사실 광고로만 돈을 벌겠다 하는 크리에이터에겐 레드오션이 되는 게 맞다. 그러나 롱폼에 비해 영상 제작이 쉬운 숏폼은 콘텐츠 시장에서 좋은 자기 PR의 장(場)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작자가 광고주에게 레퍼런스를 제공할 때 예전에는 시간과 노력이 엄청나게 들었지만, 이제는 간단한 숏폼 콘텐츠로도 자신만의 개성이나 디자인을 어필할 수 있다. 여기에 소비자의 반응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어 광고주 입장에서도 매력적이다.”
-더 많은 기사는 이코노미조선에서 볼 수 있습니다.
Part 1. 숏폼 콘텐츠, 놀이터에서 비즈니스로
①짧지만 확실한 행복, ‘숏확행’ 시대
②[Infographic]콘텐츠 판 흔드는 숏폼 플랫폼
Part 2. 숏폼 콘텐츠 생태계 만드는 사람들
③[Interview] 테사 라이온스-레잉 인스타그램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총괄
④[Interview] 설윤환 틱톡코리아 글로벌비즈니스솔루션 제너럴 매니저
⑤[Interview] 이현진 유튜브 한국 콘텐츠 파트너십 총괄
⑥[Interview] 박관용 순이엔티 MCN 사업본부장
⑦[Interview] 틱톡 크리에이터 ‘원정맨’
Part 3. 전문가 제언
⑧[Interview] 호프 호너 레몬라이트 비디오 프로덕션 최고경영자(CEO)
⑨[Interview] 영국 IT 전문 저널리스트 크리스 스토켈-워커
⑩[Interview] 콘텐츠 전문 VC 스마트스터디벤처스 이현송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