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해 계열사로부터 87억여원을 연봉으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16일 2021년도 사업보고서를 공시했다. 이에 따르면 현대차 대표이사 회장인 정 회장은 급여 40억원, 상여 14억원, 기타 근로소득 100만원 등 54억100만원을 수령했다. 정 회장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뿐 아니라 기아에서도 등기임원을 맡고 있지만, 기아에서는 보수를 받지 않는다.

정의선 현대차 회장. /현대차그룹 제공

전날 공시된 현대모비스(012330)로부터 받은 33억7500만원(급여 25억원, 상여 8억7500만원)을 합하면 정 회장의 작년 연봉은 87억7600만원이다. 이는 2020년 정 회장이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에서 받은 연봉 59억8900만원보다 27억8700만원 늘어난 것이다. 2020년과 비교해 지난해에 한 달 평균 2억3000여만원을 더 받은 셈이다.

현대차는 사업보고서에서 정 회장의 작년 급여에 대해 “임원 급여 테이블 및 임원 임금 책정 기준 등 내부 기준을 기초로 해 직무·직급(대표이사/회장), 리더십, 전문성, 인재육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상여에 대해서는 “임원보수지급기준(성과 인센티브)을 기초로 계량지표로는 매출액 및 영업이익 등의 사업실적 및 사업목표 달성 정도, 비계량지표로는 경영진으로서의 성과 및 기여도, 대내외 경영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0∼100% 내에서 지급할 수 있는데 12월에 총급여의 35%를 지급했다”고 전했다. 기타 근로소득은 ‘회사 규정을 기초로 한 복리후생(선물비) 지급’이라는 게 현대차의 설명이다.

그룹 내 보수액 5억원 이상 중 정 회장은 상위 세번째에 올랐다. 지난해 말 퇴임한 임원들이 퇴직금을 수령하면서 순위가 밀렸다. 정 회장을 제외한 상위 5명을 보면 윤여철 전 부회장이 57억3900만원(퇴직금 39억14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이원희 전 사장 55억4700만원(퇴직금 43억3만원), 하언태 전 사장 42억9100만원(퇴직금 29억8300만원), 김병준 전 부사장 29억5700만원(퇴직금 21억8500만원) 등이었다.

등기임원 중 현 대표이사인 장재훈 사장은 9억7700만원(급여 6억9400만원, 상여 2억7000만원, 기타 근로소득 1300만원)을 연봉으로 받았고, 서강현 기획재경본부장 부사장은 5억6500만원(급여 3억8600만원, 상여 1억7500만원, 기타 근로소득 400만원)을 수령했다.

지난해 말 물러난 알버트 비어만 전 연구개발본부장 사장은 27억6900만원(급여 10억8200만원, 상여 3억9900만원, 기타 근로소득 6억8900만원, 퇴직금 5억9900만원)을 받았다. 기타 근로소득에 대해 현대차는 “외국인 임원으로 글로벌 보험료, 항공료, 자녀학자금을 비롯한 복리후생 지원비 등”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현대차 제공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와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품귀현상에도 현대차의 차량 부문 국내 공장 가동률은 100.5%로 100%를 넘겼다. 해외 공장의 경우 러시아가 117.1%로 가장 높았지만, 나머지 공장들은 100% 아래였다. 구체적으로 미국 78.8%, 인도 90.9%, 터키 81.1%, 체코 83.3%, 브라질 89.2%, 베트남 96.6% 등이었다.

작년 누계 기준으로 투자한 금액은 7조5370억원이었고, 올해는 9조2317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 중 연구개발 투자는 작년에 3조939억원이었고, 올해는 3조7315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지난해 연구개발 비용은 3조1000억여원으로, 매출액 대비 비중은 2.6%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현대차가 보유한 지적재산권은 특허 3만2477건, 디자인 5871건 등이었다.

직원은 기간제 근로자를 포함해 남성 6만7711명, 여성 4271명 등 7만1982명이었다. 1인 평균 급여액은 남성 9700만원, 여성 7800만원 등 9600만원이었다. 이는 2020년 8800만원보다 800만원 오른 것이며, 2019년 수준을 회복한 액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