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1인당 면세점 구매액이 50만원대로 급감했다. 코로나19 엔데믹(Endemic·풍토병이 된 감염병)에 따라 여행 수요가 회복하고 있지만 중국 단체 관광객(유커) 유입이 지연되고, 고환율로 실질적인 구매객 수는 줄어 면세점 실적도 곤두박질치는 모양새다.
18일 한국면세점협회와 면세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면세점 매출액은 7조3969억60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조5118억9000만원)보다 13.6% 늘었다. 같은 기간 구매객 수가 949만7000명에서 1382만5000명으로 45.6%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저조한 수치다.
전체 매출액을 구매객 수로 나눈 1인당 구매액도 68만6000원에서 53만5000원으로 22% 줄었다. 연도별 1인당 구매액을 보면 2019년 47만9000원, 2020년 96만8000원, 2021년 266만4000원, 2022년 195만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지난해 감소세로 전환한 뒤 올해 더 감소했다.
물론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2022년은 국내외 여행 제한으로 다이궁(보따리상) 매출 비중이 90% 이상으로 비정상적으로 높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와 올해도 보따리상 매출 비중이 50~60%로 작지 않았던 만큼 1인당 구매액 감소를 오로지 다이궁 변수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여행 수요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보다 90% 이상 회복했음에도 면세점 구매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본다. 올해 상반기 구매 고객 수는 2019년(2435만4000명) 대비 57%에 불과하다. 내국인 구매객은 1473만6000명에서 940만2000명으로 36.2% 줄었고, 외국인은 961만8000명에서 442만3000명으로 54% 감소했다. 유커의 부재 속 개별 외국 관광객의 소비 패턴이 먹거리와 체험 중심으로 바뀐 데다 고환율로 인해 내국인마저 발길을 돌린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건비와 같은 고정비와 공항 임차료, 마케팅 비용 등을 포함한 판매관리비 부담이 커지면서 수익성도 악화됐다. 이는 올해 상반기 업체별 실적에 그대로 반영됐다.
업계 1위로 꼽히는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상반기 416억원 영업이익을 거뒀으나 올해 상반기 적자로 전환해 463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도 각각 영업이익을 70억원과 158억원을 내면서 각각 83.8%, 75.5% 급감했다. 현대백화점 면세점은 지난해 상반기 165억원 상당의 영업손실에 이어 올해에도 90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