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신발 편집숍 ABC마트코리아가 국내 진출 20년 만인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이 역신장했다. 국내 신발 편집숍 시장 점유율 1위인 ABC마트는 2019년 일본 불매 운동에도 매출이 전년 대비 7% 성장했지만, 지난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매출(4553억원)과 영업이익(45억원)이 각각 17%, 89% 감소했다.
수집과 재테크 열풍으로 운동화 시장이 커졌지만, 신발 편집숍은 하락세를 걷고 있다. 신발 편집숍은 2010년대 캐주얼한 옷차림의 부상에 맞춰 다양한 신발을 골라 사는 구매처로 주목받았지만, 온라인 쇼핑의 부상과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성장세가 꺾였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슈마커는 지난해 매출 914억원을 냈다. 전년 대비 17% 줄어든 수치다. 영업손실은 7억원이었다. 에스마켓도 매출(1051억원)이 12% 줄고, 영업이익(4억9000만원)은 10분의 1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랜드의 폴더도 지난해 매출이 소폭 하락했다.
신발 편집숍들은 주로 오프라인 중심 상권에 대형 매장을 내고 고객을 모았다. 초기엔 국내 미도입 브랜드와 상품을 저렴하게 팔아 이목을 끌었지만, 신발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온라인 유통사가 생겨나고 백화점 등 기존 유통사도 판매에 뛰어들자 입지가 좁아졌다. 특히 강남이나 명동 등 금싸라기 땅에서 장사하던 업체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 한정판 운동화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지만, 판매 채널이 브랜드 공식 온라인몰이나 재판매점으로 제한돼 신발 편집숍으로는 수요가 몰리지 않았다.
나이키 등 유명 브랜드들이 직접 판매(D2C)를 강화한 것도 경쟁력 악화에 한몫했다. 금강제화 계열사 갈라인터내셔널이 운영하는 레스모아는 2019년까지만 해도 120여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며 1000억원대 매출을 유지했지만, 지난해 6월을 기점으로 매장을 모두 철수하고 온라인 편집숍으로 전환했다. 매출의 40%를 차지하던 나이키가 공급 계약을 종료하면서다.
레스모아는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쇼핑몰로 새 판을 짰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갈라인터내셔널의 지난해 매출은 1363억원으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지만, 영업이익은 49억원으로 200% 감소했다. 이는 애플 대리점인 프리스비를 포함한 수치로, 레스모아의 매출은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아디다스, 언더아머, 크록스 등도 D2C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향후 신발 편집숍의 경쟁력은 더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랜드 폴더 관계자는 “아직 글로벌 브랜드들이 상품이나 수량 공급을 줄이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지만, 레스모아 사태가 언제 닥칠지 모르기에 새로운 성장 모델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했다. 폴더는 공식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 오찌, 클라시코 등 PB 판매를 강화한 결과 올해 매출이 15% 성장했다.
한편, 글로벌 브랜드 상품의 바잉력이 뛰어난 해외 신발 편집숍은 꾸준히 국내 시장에서 사세를 확대하고 있다. 앞서 2018년 영국 JD스포츠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최근에는 미국 최대 신발 편집숍 풋락커가 서울 홍대, 신촌, 명동, 신사에 매장을 내고 한국 진출을 공식화했다. 풋락커는 28개국에서 3000개 매장을 운영하는 신발 업체로, 나이키의 ‘조던 브랜드’ 등 프리미엄 상품군에 대한 경쟁력이 높다는 평을 얻고 있다. 나이키도 초대형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 가로수길에 ‘조던 서울’을 개장한 데 이어, 올해 명동에 3층 규모의 ‘라이브 콘셉트 스토어’를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