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집무실 위치 변경으로 인해 청와대는 드론 비행의 새로운 명소가 됐지만 용산 지역은 비행 금지 구역으로 지정돼 조종사들의 희비가 갈리고 있다. 대통령 집무실이 사라진 청와대는 비행 금지 구역에서 해제돼 드론을 날릴 수 있게 됐지만, 새 집무실이 들어선 용산구는 전 지역이 비행 금지 구역으로 지정됐기 때문이다. 드론 조종사들은 현재 드론 비행 금지 구역 반경이 지나치게 넓다며 조정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5월 15일 오후 서울 청와대 상공에서 바라본 경복궁이 녹음에 물들어 있다./연합뉴스

청와대 드론 비행은 최근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하며 가능해졌다. 15일 서울지방항공청에 따르면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되기 전에 청와대 인근 반경 8.3 킬로미터(km)는 ‘P-73′이라고 불리는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돼 드론 비행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지난달 10일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구로 이전되면서 청와대 인근에서도 사전 신청을 하면 드론을 날릴 수 있게 됐다.

청와대 인근 드론 비행이 가능해지면서 조종사들의 발길도 이어지고 있다. 드론 비행을 취미로 하고 있는 김모(28)씨는 “청와대 인근은 인왕산, 경복궁 등 멋진 풍경이 많아 드론 촬영하기 좋은 장소지만 그간 비행이 금지돼있었기에 아쉬웠다”며 “그런데 이번에 청와대 인근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벗어나게 돼 날씨가 좋은 날 곧바로 촬영에 나설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현재 드론 조종사 커뮤니티에서도 청와대, 광화문 인근 비행 허가에 대한 정보가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다. 이들은 청와대 인근 상공에서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과 영상을 올리며 의견을 나눴다. 한 회원이 청와대를 수직에서 내려보는 전경 사진을 올리자 다른 회원은 “나는 북한산에서 능선을 따라 내려가 청와대 위를 지나는 식으로 촬영을 해볼 생각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또한 청와대 전경을 담은 영상에 “청와대를 이렇게 볼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을지 몰랐다” “역사에 남을 영상인 것 같다”며 감탄하는 댓글이 연이어 달리기도 했다.

또 비행 승인 절차에 대한 요령과 고충에 대한 내용을 서로 말하기도 했다. 회원들끼리 “서울 정부청사 앞 경찰들에게 허가 인증서를 보여주고 비행하면 지나가던 시민들의 오인 신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인근에 있는 경복궁 촬영은 문화재청에 별도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등의 의견을 나눴다.

반면 새로운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선 용산구는 다음달 9일까지 전역이 임시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드론 조종사들이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 용산구 지역은 한강을 끼고 있는데다 고층 건물도 촬영할 수 있어 드론 조종사들 사이에서 명소로 여겨지던 곳이기 때문이다. 만일 임시 금지구역에서 해제 되더라도 대통령 집무실로부터 반경 3.3km는 비행금지구역으로 유지된다. 이 구역은 한강공원을 비롯한 드론 촬영 명소를 포함한 구역이다.

드론 조종사들은 관련 문제에 대해 불만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드론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집무실 이전으로 노들섬을 비롯한 명소 촬영을 포기해야만 하는 게 아쉽다” “회사 업무와 관련된 중요한 드론 촬영을 해야하는데 집무실 이전으로 인해 어렵게 됐다” 등의 목소리가 나왔다.

드론 조종사 관련 단체들은 지자체 측에 비행 구역과 관련된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오석봉 한국드론진흥협회 회장은 “서울시는 원래도 비행 금지 구역이 많았는데 이번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비행할 수 있는 곳이 더 제한됐다”며 “국가 차원에서 드론을 4차산업 주요 분야로 내세우고 있는 만큼 비행 구역을 조금만 더 확보할 수 있게 정책개선을 해줬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대한드론협회 관계자는 “드론 관련 업계는 공항 반경 9.3km에서 4km로 비행금지구역 넓이를 줄여달라고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며 “통상 드론으로 어떤 대상을 요격할 수 있는 범위가 반경 4km 이내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