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스피 대표 배당지수의 수익률은 코스피지수는 물론 미국 배당주도 뛰어넘었다. 정부의 밸류업 정책으로 인한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지난 8월 1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밸류업을 위한 상장기업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증시 대표 배당지수인 코스피 고배당50의 연중, 1년 수익률은 각각 9.7%, 12.6%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배당성장50 수익률도 연중 12.9%, 1년 15.9%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코스피의 연중 수익률은 -2.8%로 오히려 하락했다. 1년 수익률도 0.63%에 그쳤다.

아울러 국내 배당지수들의 최근 수익률은 미국 대표 배당지수의 성과도 넘어섰다. 미국 S&P글로벌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배당귀족의 연중, 1년 수익률은 각각 9.1%, 10.3%인 것으로 드러났다. 소위 ‘슈드’로 알려진 슈와브 미국 디비던드 에퀴티(SCHD) 상장지수펀드(ETF)의 기초지수인 다우존스 미국배당100은 연중, 1년 수익률이 각각 8.9%, 11.8%다.

한국 배당지수들은 최근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하며 시장이 흔들리는 와중에도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고점을 넘기기도 했다. 정부의 밸류업 정책 효과로 향후 기대 배당수익률이 높아질 것이란 기대감에 투자 심리가 개선된 영향이다. 아울러 배당주는 배당수익률이 주가를 하방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주가가 하락해 배당수익률이 높아지면, 매수세가 유입돼 주가가 회복되곤 한다.

유명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관련 종목은 미 대선 등 불확실성이 높고, 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시기에 좋은 투자 대안이다”이라며 “금리 하락 추세와 지수 상승세 둔화는 배당수익률이 높은 밸류업 업종에 우호적인 환경”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