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지역단위 농·축협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동대출 연체금이 1년 새 1조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체율도 13.62%에 달해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10일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농업협동조합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전국 지역단위 농·축협의 공동대출 연체금액은 3조1646억원이었다. 같은 해 1월 말(2조1328억원)과 비교하면 1조318억원 증가했다.
연체율은 지난해 1월 말 9.38%에서 12월 말 13.62%로 4.24%포인트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조합원 상호금융대출 연체율(4.03%)과 비교하면 공동대출 연체율은 3배에 달한다. 상호금융권의 경우 보통 연체율이 10%를 넘으면 부실 위험이 큰 금융기관으로 분류한다.
지역별로는 대구 지역 농·축협의 연체율이 24.09%로 최고를 기록했다. 연체금액은 1351억원에 달했다. 경북이 18.52%로 뒤를 이었다. 두 지역 모두 지난해 아파트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면서 심각한 부동산 침체를 겪고 있다.
이어 충북 17.24%, 제주 15.56%, 경기 15.11%, 충남 14.62%, 대전 14.60%, 광주 14.32% 등의 순으로 연체율이 높았다. 연체율이 10% 미만인 지역은 서울(6.27%)과 인천(9.15%)뿐이었다. 연체금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로 7516억원이 연체됐다.
공동대출은 여러 지역 농·축협이 모여 공동으로 부동산 PF 브리지론(토지매입 단계 PF)을 취급하는 방식이다. 지역 농·축협은 자산 규모가 크지 않아 단독으로 브리지론과 같은 수백억원대 대출을 해줄 수 없다. 이 때문에 농·축협 여러 곳이 모여 공동으로 브리지론을 취급하는 우회로를 선택했는데, 부동산 경기 악화로 대규모 부실이 발생한 것이다.

대구·경북과 대전·충청권은 최근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이 급증하는 지역이다. 지난 1월 충북의 경우 악성 미분양 가구 수가 전월 대비 43.4%(403가구) 증가했다. 같은 기간 충남은 1135가구(6.0%), 대전은 582가구(5.2%)가 각각 늘었다. 대구·경북 역시 지난해 12월 신규 악성 미분양의 60%를 차지했을 정도로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어 농·축협 공동대출 부실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임미애 의원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개발이 어려워지자 본PF 단계에 들어가지 못한 사업들의 부실이 발생해 브리지론 대출 역시 부실 단계로 접어든 것”이라며 “지역 조합 부실 문제가 자칫 조합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