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이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요양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생보업계 1위 삼성생명이 요양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보 1위 삼성생명은 최근 시니어리빙 TF를 시니어Biz팀으로 격상했다. 이 팀은 삼성생명이 당초 지난해 시니어사업을 검토하기 위해 기획실 산하에 만든 TF였다. 업계에서는 국내 시장에서 본업만으로 수익을 내기 어렵다고 판단해 사업을 다각화하려는 측면이 강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신한라이프, KB라이프생명에 이어 하나생명 역시 최근 이사회에서 요양업에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하나생명 역시 앞선 시도와 마찬가지로 요양사업 관련 자회사를 설립하고 올해 하반기 중 주간보호사업을 개시했다. 하나생명은 오는 2026년 하반기 서울 인근에 프리미엄급 요양시설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신한라이프는 시니어 자회사 신한라이프케어를 설립하고 지난해 11월 1호 장기요양시설 ‘분당데이케어센터’를 개소했다. 시니어 서비스 전반을 제공하는 ‘시니어 토탈 라이프케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또 신한라이프는 헬스케어 자회사였던 신한큐브온을 시니어 사업 자회사인 신한라이프케어로 변경한 후 시설 확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KB라이프생명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는 2016년 금융업계 최초 요양시설 사업회사로 설립해 2017년 주야간보호시설 강동케어센터, 2019년 위례빌리지, 2021년 서초빌리지를 개소했다. 내년에는 서울 은평과 강동, 경기 수원 광교 등지에 도심형 요양시설을 만들 계획이다.
보험사들이 요양업에 힘쓰는 이유는 올해 새 회계제도(IFRS17) 가이드라인,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내년부터 보험업황 악화가 예상돼 보험사들이 신사업 모색을 서두르는 것이다. 그간 보험사들은 예금 성격을 띤 저축성 보험과 사망 보장 보험인 종신보험을 주로 판매했다. 그러나 저출산·고령화 등 환경 및 제도적 요인 탓에 업황이 크게 악화됐다. 게다가 IFRS17가 도입되면서 주력 상품인 저축성 보험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다.
다만 현행법상 요양시설 설치 시 사업자가 토지나 건물을 직접 소유하거나 공공부지 임차를 해야 하기 때문에 이 비용이 보험사들에 부담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현행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30인 이상의 요양시설을 설치하려면 토지·건물을 직접 소유하거나 공공부지를 임차해야 한다. 특히 수요가 높은 수도권에 요양시설을 마련하려면 부지 확보나 건축비용이 크게 상승한다는 점은 진입 장벽이다.
업계 관계자는 “여러 진입 장벽이 있지만 수익을 높이기 위한 업계 전체의 과제가 있는 만큼 요양업은 돌파구와 같은 선택지”라면서 “앞으로 더 많은 보험사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