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손민균

9월 말까지 두 차례에 걸쳐 부동산 프로젝트(PF) 사업성을 재평가한 결과 유의(C) 및 부실우려(D) 등급을 받은 사업장의 익스포져(위험노출액)가 22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부동산 PF 중 부실채권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1%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은 19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결과 및 정리·재구조화 현황’을 발표했다. 금감원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안을 마련했다. 이후 금융사들은 바뀐 기준에 따라 6월 말과 9월 말, 두 차례에 걸쳐 새로운 기준으로 사업성을 평가했다.

금융감독원 제공

평가 결과 전체 부동산 PF 익스포져는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210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과 대비하면 20조7000억원, 6월 말과 비교하면 6조1000억원 감소했다. 같은 시점 C·D등급 익스포져는 22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부동산 PF 익스포져의 10.9% 수준이다. C등급은 8조2000억원(3.9%), D등급은 14조7000억원(7.0%)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 제공

업권별로 살펴보면 상호금융의 C·D등급이 10조9000억원으로 전 업권 중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저축은행(4조4000억원), 증권(3조8000억원), 여신전문금융(2조7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금융감독원 제공

통상 부실채권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작년 말 5.2%에서 9월 말 11.3%로 증가했다.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은 “(금융사가 부실 부동산 PF를) 정리 및 재구조화한다면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자연스럽게 개선될 것이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제공

이번 사업성 재평가와 더불어 9월 말 부동산 PF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1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2조4000억원 증가, 6월 말과 비교하면 1000억원 감소한 수준이다. 금감원은 사업성 재평가에 따른 충당금 추가 적립에도 불구하고 금융사의 자본비율을 고려할 때 전반적으로 금융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고 판단했다. 다만 C·D등급 여신이 증가하면서 부동산 PF 연착륙을 위해 지속적인 부실채권 정리 및 연체율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금융사들은 C·D등급을 받은 사업장에 대해 정리 및 재구조화 계획을 세워 금감원에 제출한 상태다. 1차 평가 결과 정리·재구조화 대상 20조9000억원 중 4조5000억원의 정리·재구조화가 완료됐다. 금감원은 정리·재구조화로 현재 3만5000호에 달하는 주택 공급 촉진에 기여했으며 잔여 사업장 정리가 활발하다면 내년 상반기까지 10만4000호 상당의 주택 공급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감원은 이번 부동산 PF 재평가와 정리·재구조화를 통해 금융사의 부동산 PF 취급 및 사후관리가 선진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금감원은 부실 사업장에 대한 사후관리가 신속히 이행되도록 경공매 활성화를 지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