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이 본격적으로 부실채권(NPL)을 정리하고 경영 상황이 어려운 단위 조합을 지원하는 데 힘을 쏟는다. 상호금융권은 연체율이 늘고 적자 단위 조합이 급증하는 등 건전성과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고 있다.
26일 수협중앙회는 이날 총회에서 내년도 사업계획 변경안과 대부업 자회사 설립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을 확정했다. 두 사안 모두 지난달 이사회에서 의결된 내용으로, 총회에서도 이견 없이 통과됐다. 먼저 수협은 회원 조합의 경영 개선을 위해 내년 회원지원 자금예산을 2500억원으로 늘렸다. 지난해 해당 분야 예산은 1800억원이었다.
수협중앙회는 회원지원 예산 2500억원 중 약 80%에 해당하는 2030억원을 부실조합에 무이자로 지원하기로 했다. 나머지 470억원도 2% 저금리로 조합 지원을 위한 사업자금 융자를 지원한다. 무이자 자금 역시 지난해 1330억원에 비해 대폭 늘렸다. 수협중앙회는 최근 3년 연속 부실조합 지원 예산을 확대하고 있다.
대부업 자회사의 경우 수협 중앙회가 올해 말 자본금 500억원 전액 출자가 확정됐으며, 내년에도 500억원을 출자할 예정이다. 이중 최소자본금 5억원은 예산 조정을 통해 출자를 완료한 상태이며, 이날 추경 후 나머지 495억원을 출자한다. 여기에 수협은행 등으로부터 대출을 받아 추가 자금을 마련해 연 2000억원대 규모의 NPL을 정리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28일 수협은 대부업 자회사 수협엔피엘대부를 설립했다. 수협은 이날 결정대로 출자한 뒤 금융감독원에 대부업체 등록을 신청해 연내 문을 연다는 목표를 세웠다. 다만 통상 금감원 등록까지는 짧게는 30일, 길게는 60일까지 걸리는 만큼 연내 출범은 어려울 수도 있다.
수협중앙회의 재정 건전성은 꾸준히 지적되어 왔다. 수협은 2021년 자본적정성과 자산건전성을 종합한 평가에서 1등급을 받았다가 지난해 2등급으로 떨어지더니 올해 8월에는 3등급으로 하향조정됐다. 또한 전체 91개의 단위조합 중 70%에 달하는 63개가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금융 지주사를 설립해 산하 캐피탈사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겠다는 계획도 연기했으며, 지난 6월에는 전사 차원의 경영개선 태스크포스(TF)팀도 조직해 수산업 여건 악화에 대응하고 경영이 어려운 조합에 대한 자구 노력을 하고 있다.
이번 총회의 주요 안건인 회원 조합의 지원자금과 대부업 자회사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다만 회원 조합 경영 예산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예산 증가와 중앙회의 재정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한 대부업 자회사가 연내 문을 연다 해도 NPL 관리 인력을 확충하고 본격적으로 NPL을 정리하는 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외부에서는 수협의 부채비율이 높고 재무 부담이 크지 않냐는 지적이 나오는데, 현재 내부 유보금으로 충분히 지원여력이 있고 이를 통해 경영이 어려운 조합을 지원하는 것”이라며 “수산금융채권도 1조원까지 발행할 수 있는데 아직 5000억원까지도 안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