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상반기 역대 최대 이자이익을 기록했지만, 채용 규모를 줄였다. 디지털 금융이 가속화 하면서 비대면거래가 활성화되고 점포 축소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주요 시중은행이 ‘역대급’ 이자이익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면서도 청년고용 확대라는 사회적 책임에는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이 채용한 신입 행원 수는 530명으로 전년 동기(963명) 대비 5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국민은행 100명 ▲신한은행 100명 ▲하나은행 150명 ▲우리은행 180명 등이다.
주요 시중은행은 9월 중순 이후 하반기 채용 공고를 낼 예정이지만, 하반기 채용전망도 좋지 않다. 하반기 채용을 가장 먼저 시작한 우리은행의 경우 채용 규모를 축소했다. 우리은행은 올해 하반기 210명의 신입 행원을 선발할 계획인데 전년 동기(250명) 대비 40명 줄어든 수치다. 상반기 채용된 180명을 포함해도 연간 390명으로 지난해 채용 인원 500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은행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가 채용 축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비대면 금융이 은행권 ‘뉴노멀’로 자리 잡으면서 점포 수가 줄어 필요한 신규 인력 수요도 감소하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국내 영업점(지점·출장소) 수는 2818개로 5년 전인 2019년(3627개) 대비 20.1% 급감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각 금융 지주의 은행·뱅킹 애플리케이션(앱)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000만명에 달한다.
희망퇴직자 감소도 신규 채용 감소의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초 4대 시중은행의 희망퇴직자 수는 총 1496명으로 지난해 1729명과 비교해 13% 감소했다. 은행권 희망퇴직자 수가 줄어든 것은 올해 희망퇴직 조건이 이전보다 나빠졌기 때문이다. 4대 은행은 지난해 초 희망 퇴직금으로 근무 기간 등에 따라 최대 35∼36개월 치 급여를 지급했으나 올해에는 일제히 최대 31개월 치로 줄였다.
일각에서는 은행이 지난해부터 ‘역대급’ 이자이익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면서도 청년고용 확대라는 사회적 책임에는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상반기 4대 시중은행 이자이익 총액은 16조6598억원으로 전년 동기(15조3365억원) 대비 8.6% 늘어났다.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가계대출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출금리는 오르고 예금금리는 하락하면서 은행의 예대마진(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 수익이 더욱 늘어났기 때문이다.
은행권 디지털화가 가속화 하면서 채용문이 좁혀졌을 뿐 아니라 채용 형태도 변하고 있다. 상반기 NH농협은행, DGB대구은행은 디지털·ICT를 중심으로 한 전문분야 채용공고를 냈다. 그간 은행은 일반 공채 때 전문분야를 함께 채용해 왔는데 전문분야만 따로 공개채용에 나섰다. 신한은행의 경우 현재 디지털·ICT 전문인재를 공채가 아닌 수시 채용하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사실상 은행이 필요한 인력은 정보기술(IT) 경력직이지만, 이들은 은행에 오지 않는다”며 “일반 행원의 경우는 영업지점이 줄어 채용 규모를 확대하기 쉽지 않은 상황인 데다 정년이 보장되는 만큼 인건비 부담도 상당해 채용 규모를 늘리는 것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