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이은현

7월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5조3000억원 증가했다. 한 달 전보다 가계대출 증가폭이 1조1000억원 확대됐다.

1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5조3000억원 증가해 전월(4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4000억원 증가해 전월(6조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이는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이 5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6000억원 축소된 데 기인한다.

기타대출은 은행권(△3000억원→△1000억원)과 제2금융권(△1조5000억원→△1000억원)모두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총 △2000억원 감소했다. 그러나 감소폭은 전월(△1조8000억원) 대비 축소됐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전월 대비 축소됐다. 반면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7월 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5조5000억원 증가해 전월(5조9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줄었다. 이는 집단대출이 감소 전환(1000억원→△2조원)하는 등 주담대 증가폭이 둔화된 데 따른 것이다. 주담대 증가폭은 6월 6조2000억원 증가했으나 지난달 5조6000억원 늘어났다.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축소(△3000억원→△1000억원)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2000억원 감소해 전월(△1조7000억원) 대비 감소폭이 크게 축소됐다. 이는 전월 반기말 상각에 따른 기저효과 등에 주로 기인한다. 상호금융권(△1조2000억원), 보험(△200억원)은 감소세를 유지하였고, 여전사(8000억원), 저축은행(2000억원)은 증가 전환했다.

금융 당국은 “가계대출이 4월부터 증가세로 전환한 이후 정책성 대출과 은행권 주담대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8월에도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거래 증가 및 휴가철 자금 수요 등으로 증가세가 확대될 우려가 큰 만큼 높은 경각심을 가져야할 시점”이라고 했다. 이어 “가계부채 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관계부처 간 정책적 공조, 금융권과의 긴밀한 소통 등을 통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명목 GDP 성장률 내에서 관리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융 당국은 “9월 1일부터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되고, 은행권 모든 가계대출에 대해 관리목적의 DSR 산출이 개시되는 만큼, 금융권 스스로가 현재 가계부채 상황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차주의 상환능력에 기반해 가계부채를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상환능력 범위 내에서 빌리고(빌려주고) 처음부터 나눠갚은 대출관행을 일관되게 확립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