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정서희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인 두나무와 빗썸의 비상장 주식 가격이 눈에 띄게 하락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이 최근 2개월 가까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가상자산 시장의 반등을 이끌 만한 호재도 대부분 소진되면서, 거래량 감소로 수익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8일 국내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인 증권플러스 비상장에서 빗썸은 전날보다 1% 내린 9만6500원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가격인 16만5000원을 기록했던 지난 3월 5일과 비교해 2개월 만에 40% 넘게 주가가 하락한 것이다.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인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비상장 주식 가격도 최근 약세를 보였다. 두나무 주가도 3월 5일 14만4000원으로 올해 최고점을 기록했지만, 이후 꾸준히 약세가 이어지면서 11만5000원까지 내려왔다.

두나무와 빗썸 비상장 주식 가격은 지난해 10월부터 빠르게 상승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발행을 승인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요 가상자산 가격이 오르면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도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초 6만원대에 거래가 됐던 빗썸 비상장 주식은 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한 올해 1월 11일 14만2000원을 기록, 3개월 만에 2배 넘는 수준으로 급등했다. 특히 빗썸의 경우 내년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최초로 증시 상장을 추진한다고 발표해 비상장 주식을 사려는 투자자들이 더욱 늘었다. 같은 기간 두나무 주가도 7만8500원에서 13만1000원으로 66%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후 비트코인 현물 ETF에 투자 자금이 계속 유입되고, 여러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자산)의 가격도 강세를 보이면서 두나무, 빗썸 주가는 3월 중순까지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격이 비싼 대형 코인보다 중소 규모 알트코인의 거래 비중이 높다.

반년 가까이 오름세를 보였던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몸값은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9000만원대에서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떨어지기 시작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코인 가격이 오를 만큼 올랐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신규 투자 자금 유입이 줄면서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국내 거래소들은 매출의 대부분을 거래 수수료로 얻는다. 이 때문에 가상자산 거래량이 줄어들 경우 매출액과 이익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두나무와 빗썸의 거래량은 코인 시장이 한창 달아올랐던 올해 3월과 비교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가상자산 통계 분석 플랫폼인 코인게코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10분 기준 업비트의 하루 거래량은 15억1193만달러(약 2조615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들어 같은 시각 기준으로 하루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지난 3월 5일의 10%에 불과한 수치다. 당시 거래량은 154억914만달러(약 21조103원)에 달했다. 빗썸의 하루 거래량도 지난 2월 말 25억달러(약 3조4100억원)에서 8일 4억5853만달러(약 6255억원)로 급감했다.

지난 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에 비트코인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지난 3월 1억원을 넘어섰던 비트코인 가격은 반감기 이후에도 약세가 이어지면서 이달 초 8000만원선까지 떨어졌다. /뉴스1

문제는 가상자산 시장에 다시 돈이 들어오도록 이끌 만한 호재를 찾기 힘들어졌다는 점이다.

올해 초 미국이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한 이후에도 2개월 넘게 가상자산 가격이 강세를 이어간 것은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한 기대감이 컸기 때문이다. 비트코인 반감기란 블록당 채굴 보상이 평소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4년에 한 번 도래한다. 앞서 세 차례 반감기를 지난 후 비트코인이 급등했기 때문에 이번 반감기를 앞두고도 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많았다.

그러나 지난달 20일 반감기를 지난 후 비트코인 가격은 오히려 약세를 보였다. 당시 업비트에서 9400만원대를 기록했던 비트코인은 8일 873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말에는 홍콩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의 출시를 승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코인 가격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올해 투자자들을 돌아오도록 할 만한 큰 호재를 찾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늦출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11월에는 미국 대선이 치러지는데, 어떤 후보가 당선돼도 올해 1~3월의 호황이 재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가상자산 시장 관계자는 “두나무와 빗썸 등 국내 거래소들은 거래량 감소에 대응할 만한 신사업도 아직 발굴하지 못한 상황이다”라며 “올해 2분기 이후 연말까지 실적 부진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늘면서 주식 가격도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