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신청한 태영건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대한 정상화 작업이 속도를 내기 어려울 전망이다. 태영건설의 PF 사업장이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PF 사업장별로 꾸려진 대주단이 사업장 처리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구성한 운영위원회를 통해 최종적인 결론을 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PF 사업장 처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대주단 내 수백개의 금융사가 각기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데다 이를 또 한번 산업은행과 협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해 PF 사업장의 처리 방안이 최종 도출되는 데까지는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3일 국회로부터 입수한 ‘태영건설 제1차 금융채권자협의회 부의 안건’ 문서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오는 11일 열리는 금융채권자협의회 소집을 통보하면서 ‘PF사업장 관리기준 수립의 건’을 협의회 안건으로 올렸다.
산업은행은 태영건설 공동관리절차를 개시한 뒤 기업개선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PF 사업장별 처리 방안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 산업은행은 태영건설 PF 사업장에 대한 처리방안 및 소요자금 내역 확정, 자금 지원 원칙 등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PF 사업장별 채권금융기관은 우선 PF 대주단협의회를 구성하고 PF 사업장 정상화방안, PF 대주단의 자금지원 및 채무재조정 등을 포함한 기본 처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공동관리절차 개시 시점으로부터 30일 이내 제출해야 하며, 필요하면 1회(15일 이내) 연장할 수 있다.
PF 대주단은 오는 11일 제1차 금융채권단협의회에서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가 결정되면, 산업은행이 진행하는 자산부채 실사와는 별도로 태영건설의 PF사업장에 대한 실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마련한 PF 사업장 처리 방안은 PF 대주단 대표와 산업은행과 구성한 운영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기업개선계획에 포함되게 된다.
다만, 태영건설의 PF 사업장 처리 방안은 PF 대주단뿐만 아니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의견까지 반영해 확정되는 만큼 그 과정에서 난관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태영건설이 규모가 작은 시행사가 금융사로부터 받은 대출에 대해 보증을 선 사업장 중에서는 한 사업장에 금융채권자만 50~60곳에 달하는 곳이 있다”라며 “이런 곳들은 PF 대주단 내에서도 자신의 이익에 따라 의견이 달라질 수 있어 정상화 또는 재구조화를 통한 정리 등 처리 방안을 결정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대주단 내에서 의견을 조율해 마련한 PF 사업장 처리 방안이라도 다시 산업은행과의 논의를 거쳐야 최종 기업개선계획에 포함되는 만큼 PF 대주단과 산업은행과의 이견이 있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PF 대주단에는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보험사, 증권사, 지방상호금융조합, 저축은행 등 수백개의 금융사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태영건설 관련 PF 사업장은 60개(본 PF 42개·브릿지론 18개)다. 태영건설이 보증을 선 사업장도 122곳(보증 규모 9조1816억원)에 달한다. 금융 당국은 태영건설의 사업장 유형과 사업 진행상황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거나 정리를 진행하기로 했다. 사업성과 공사진행도가 양호한 사업장은 사업장 자체적 또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의 필요한 지원을 바탕으로 대주단과 시행사가 기존 계획대로 정상적으로 사업을 진행·완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상적인 사업진행이 어려운 사업장은 대주단과 시행사가 시공사 교체, 재구조화, 사업장 매각 등을 추진한다.
PF 사업장 처리 방안이 담긴 기업개선계획은 이르면 제2차 협의회가 열리는 4월 11일 전에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은 제1차 금융채권자협의회 안건으로 채권행사 유예대상 채권도 확정했다. 금융채권자는 워크아웃 개시가 결정되면 오는 11일부터 4월 11일까지 채권행사를 유예하고, 기한연장·대환 등을 추진해야 한다. 한도거래여신은 채권행사 유예기간까지 회전운용(리볼빙)하기로 하며, 이 경우 약정에 따른 정상이자를 수취할 수 있다. 한도거래여신에는 전자방식에 의한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하나은행 1,000억원·신한은행 870억원·우리은행 660억원), 당좌대출 등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