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KB·신한·우리·하나 등 4대 은행의 영업이익 중 이자이익 비중. /조선비즈DB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이 금융지주사에 전년도 결산 배당금으로 약 3조7000억원을 배당한다. 금융당국의 배당 자제 권고에도 은행이 지주사에 각각 1조원가량을 배당하는 셈이다. 공공성을 지닌 은행이 늘어난 이익을 공익에 환원하기보다 임직원들의 상여금을 늘리고 주주 배당 확대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지적이 금융권에서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은 지난해 결산 현금 배당으로 3조7671억원을 책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1조원 가량 늘어난 금액이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1조345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이 1조1571억원을 배당해 뒤를 이었다. 우리은행은 1조3725억원을, 하나은행은 8800억원의 현금 배당을 각각 결정했다.

은행의 배당금은 전액 지주사로 흘러가 주주 배당의 재원으로 쓰인다. KB금융(105560), 신한금융, 우리금융지주(316140), 하나금융지주(086790) 등 4대 금융지주는 올해 4조416억원 규모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KB금융 1조1494억원, 신한금융 1조928억원, 하나금융 9767억원, 우리금융 8227억원 등이다.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실적이 증가하면서 배당 성향을 강화했다.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5조8506억원으로, 전년(14조5428억원) 대비 9.0%(1조3078억원) 증가했다. 신한금융이 4조6423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KB금융 4조4133억원, 하나금융 3조6257억원, 우리금융 3조1693억원 순이었다. 4대 금융지주 모두 최고 실적을 기록한 전년도 기록을 갈아치웠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리 상승으로 서민의 고통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이자 장사로 최대의 수익을 낸 은행들이 거액의 배당 잔치를 한다는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고금리로 늘어난 이익을 공익에 환원하지 않고 상여금, 퇴직금, 배당금만 늘리고 있다는 것이다.

왼쪽부터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사옥 전경. /각 사 제공

지난 13일 윤석열 대통령까지 나서 ‘은행의 돈 잔치’에 대한 대책 마련을 주문한 만큼 금융당국도 은행 배당 문제를 점검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배당 규모 확대 추세와 관련,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갖춘 뒤 자율적인 배당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은 은행의 예상되는 손실 흡수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상반기에 새롭게 도입하기로 했다. 특별대손준비금은 자본으로 인정되지만 배당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배당 규모와 손실 흡수 능력을 간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금융당국은 또한 은행들이 배당을 늘리기 위해 중저신용자에 대한 지원을 줄일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사회 환원에 나서고 대출 금리도 낮췄다면 이런 비판을 받지 않았을 것”이라며 “고금리로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는데 상여금에 배당까지 늘려 여론이 좋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