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올 상반기 하이브와 손잡고 미국에 설립한 NFT(대체불가능토큰) 합작사인 ‘레벨스’가 올해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22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2)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현재 국내 거래소들은 해외 송금이 어려운 상황이나 해외 법인 투자 등으로 인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특히 유명 아티스트를 결합한 NFT의 가능성에 대해 주목했다. 하이브가 보유한 BTS 등 유명 아티스트를 이용한 NFT 사업으로 해외에 진출한다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현재 가상자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결국은 성장할 수밖에 없다”며 “하이브와 함께 BTS등 아티스트 관련된 NFT 상품을 만든다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두나무의 수익이 가상화폐 거래 수수료로 국한돼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NFT 사업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현재 가상자산 거래소가 블록체인 사업을 하기 위해선 여러 제약 상황이 많다”며 “그러나 가장 도전해 볼 만한 것은 NFT 사업”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송치형 두나무 회장도 NFT 관련 사업을 직접 이끌고 있다”며 “이를 통해 해외 무대를 마음껏 누릴 기대를 품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 대표는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자산 기본법에 대해선 해외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금융 당국 등 정부 관계자들이 미국을 포함한 해외 규제 동향을 참고해 규제안을 만들겠다고 예고한 만큼, 이에 대해 긴밀히 대응하겠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유럽연합(EU)의 가상자산 규제안 미카(MiCA) 외에도 미국 쪽 동향을 중요하게 살펴보고 있다”며 “한국 법제화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을 참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증권형 토큰(STO)에 대한 정의가 금융 당국으로부터 내려진다 하더라도 업비트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업비트 내 상장된 코인은 자체 법률 심사를 통해 증권성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증권형 토큰은 법률상 증권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업비트와 같은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없다. 앞서 업계에서는 증권형 토큰이 도입된다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제외한 대다수 알트코인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앞으로도 투명성, 안정성, 고객 보호 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두나무가 대기업으로 지정된 만큼 사회적 책임도 다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두나무가 진행 중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사업 외에 청년을 위한 사업도 구상 중”이라며 “환경과 청년에 중점을 두고 투명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