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상과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 이후 금융 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이 예고되면서 3월 은행업계는 안갯속을 걷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이에 따른 러시아 금융제재로 금융시장을 향한 우려감도 커져 있다.

시장에 놓인 여러 변수가 전통 은행들과의 차별화 전략을 앞세운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과 위기가 될 수 있다는 진단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크게 네 가지 이슈를 살펴야 한다고 봤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애플리케이션(앱). /조선비즈

① 금리 인상 속 예대마진 확대 기대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5∼16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재 0∼0.25%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25bp)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도 연내 2회 이상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른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금리 인상은 금융지주 및 은행업계에 호재로 평가된다. 여수신 증가와 예대마진 확대가 주수익원이기 때문이다. 금리가 오르면서 예대마진이 벌어지고 이자 이익이 증가해 실적이 개선되는 효과로 이어진다는 논리에서다.

이런 시각하에 인터넷전문은행들도 기준금리 및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자수익이 확대되는 효과를 보면서 작년에 이어 올해도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있다.

② 금리차별화 경쟁력 약화 우려 부각

반면 금리 인상기에는 인터넷전문은행들이 금리 차별화 전략을 이어가는 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저금리 정책 기조 속에서 출범한 인터넷전문은행들은 기존 은행과의 차별화 전략으로 ‘금리 경쟁력’을 내세우며 고객 확보에 몰두해왔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10월 하루만 맡겨도 연 2% 이자를 지급하는 수시입출금 통장(파킹통장)을 출시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쏠렸고, 올해는 인터넷전문은행 최초로 무보증 무담보 ‘비대면 사장님 대출’을 선보였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22일 시중은행 금리보다 약 1.7%p 낮은 금리를 앞세운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출시했다. 케이뱅크는 지난 5일부터 신용대출과 신용대출플러스, 마이너스통장 등 대출 상품 금리를 신용등급에 따라 최대 연 0.3%포인트 낮췄다.

한 핀테크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보다 낮은 금리 등을 앞세운 여신 상품을 출시해 대출 성장을 꾀하는 것인데, 차별화 전략을 얼마나 지속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여·수신 혜택이나 조건 등을 기존보다 축소할 가능성도 잠재돼 있고,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금리 인상 효과로 금리 경쟁력이 약화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③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건전성 부담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출범 취지에 따라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목표치까지 늘려야 하는데, 금리 인상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는 실적 성장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늘릴수록 부실 발생 및 연체율 상승에 대비한 충당금, 즉 대손비용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정태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최근 흑자전환에 성공한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경우 중저신용자대출 비중이 상승할 때 대손비용률이 따라서 상승하면서 순영업수익 대비 영업이익률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중저신용자 신용 대출 비중 확대와 수익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했다.

④ 새 정부의 대출 총량 규제 완화 기대

최근 시장에서는 새 정부 차원에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 완화와 함께 대출 총량 규제 완화를 추진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대출 총량 규제가 완화할 경우 인터넷전문은행이 상대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인터넷전문은행들은 대규모 증자로 충분한 자본을 확충한 데다 차별적인 금리와 서비스 경쟁력을 갖고 있다”면서 “대출 총량 규제가 완화하면 경쟁을 주도하는 가격 파괴자 역할을 함으로써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연초 이후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은 자산시장 수익률은 하락한 반면 대출금리는 오르면서 대출 수요가 감소한 것이 원인”이라면서 “대선 불확실성 제거되고 주택대출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부동산 거래 활성화로 이어질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