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이 되면 전국의 모든 시·도에서 나 홀로 사는 '1인 가구'가 가장 흔한 가구 형태가 될 전망이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장래가구 추계(2015년과 2045년 비교)를 보면, 2015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가장 흔한 가구 유형은 전체의 32.3%인 '부부+자녀 가구'로서 613만 가구였다. 그다음은 1인 가구로서 27.2%(518만 가구)였다.

하지만 점진적으로 1인 가구가 계속 늘어나고 다른 형태의 가구는 줄어들어 9년 후인 2026년이면 전국의 모든 시·도에서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후로도 1인 가구 비중은 계속 증가해 2045년이 되면 809만 가구로서 전체의 36.3%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부부+자녀 가구는 2045년에 전체의 15.9%인 354만 가구로 크게 줄어든다고 통계청은 내다봤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저출산으로 전체 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고령화로 수명이 길어지면서 혼자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1인 가구 중에서도 독거 노인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2015년에는 1인 가구 중 39세 이하가 36.9%이고, 60세 이상은 30%다. 하지만 2045년에는 독거 노인들이 급증해 1인 가구 중 39세 이하는 21.9%로 줄어들고 60세 이상의 비중이 54%로 가장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