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을 이유로 광고총량제 도입 등 광고 시간을 늘리는 제도 개편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는 KBS·MBC·SBS 등 지상파 방송사들이 일정 수준 이상 성과를 올렸을 때 지급하는 성과급을 기본급으로 전환해 지급하고, 연봉이 높은 고위직 직급자의 비중을 크게 늘리는 등 방만한 경영 행태를 유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자유경제원과 감사원 등에 따르면 KBS는 2010~2013년 4년간 아무 근거도 없이 전 직원에게 238억원에 달하는 사실상의 특별성과급을 지급했다. 2009년까지는 세전(稅前) 이익이 500억원을 넘을 경우에만 특별성과급을 지급했으나, 2010년 관련 규정을 없애고 특별성과급을 기본급으로 전환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KBS는 그 전 8년간의 특별성과급 평균 액수를 기본급으로 환산해 일괄적으로 전 직원의 월 급여를 인상해줬다. 그러나 KBS는 2010~2013년 4년간 세전 이익이 500억원을 넘긴 적이 한 차례도 없었다. 지급되지 않아야 할 특별성과급이 기본급으로 전환되는 바람에 고스란히 지급된 셈이다. KBS는 "당시 특별성과급을 폐지하면서 노사 합의를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말했다.

MBC 최대 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의 최근 'MBC 경영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직원 1425명 중 국장·부국장·부장·차장(차장대우 포함) 등 간부 인력이 987명에 달했다. 전체 직원의 69.3%가 간부인 가분수형 조직 구조다. 특히 2009년 18명이었던 국장 직급자는 2013년 83명으로 4년 만에 4.6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가 이 같은 방만 경영을 해결하려는 자구 노력을 보이지 않는데도 방송통신위원회는 종합유선방송(SO)이나 IPTV(인터넷TV) 사업자 등 경쟁 방송사업자의 생존 기반을 약화시키는 광고총량제 도입을 강행하고 있다.

황근 선문대 교수는 "정부가 지상파 방송사들의 경영 상황을 걱정한다면 방만한 경영과 불투명한 회계, 과도한 인력 구조 같은 내부 문제부터 먼저 해결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