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1%포인트 늘어나면 저축률은 최대 0.70%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계저축률은 1988년 18.7%에서 2011년 4.3%로 급락했다.

65세 이상 인구가 1%포인트 늘어날 때 저축률에 미치는 영향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저성장 고령화가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세미나'에서 이 같이 밝혔다.

임 연구위원이 세계은행의 자료를 이용해 1960~2012년까지 115개국을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개인은 노후에도 소비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청장년기에 저축을 하기 때문에 평균저축성향은 노년기보다 청장년기에 더 컸다. 또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1%포인트 상승하면 국채금리는 1.1~1.7%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초반에는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5%대이고 국고채 금리는 13%대였으나 작년에는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12%로 증가했고 국고채 금리는 3%대로 하락했다"고 말했다.

노형식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에 따르면 고령화로 이자율 수준이 1%포인트 낮아지면 은행 순이자마진은 16bp(1bp=0.01%)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노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은행 대출의 상당부분이 변동금리 대출이고 단기금리에 연동해 대출금리가 결정된다"면서 "저성장 고령화로 인한 은행의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가계소득 증가율과 경제성장률 간 상관관계

이외에도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면서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할 경우 가계소득 증가율은 0.58%포인트 떨어지고 국세수입은 1.1%(작년 기준 2조2000억원) 감소했다. 반대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 증가하면 취업자수는 0.31% 증가하는 추정됐다.

임 연구위원은 “저성장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가계는 저축을 늘려 은퇴이전에 충분한 자산을 축적하고 자산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해야 하고 금융기관은 해외진출, 고령화 관련 금융상품 개발에 나서야 한다"면서 "정부는 금융교육과 소비자보호를 강화하고 장기 금융자산이 활성화될 수 있게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