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은 최근 고령층의 소비여력이 부족해진 이유에 대해 예상보다 빨랐던 기대여명 증가, 교육비의 빠른 상승으로 인한 저축 부족, 부동산 불패 신화의 종언으로 인한 자산 감소, 금융위기 이후 급격한 금리 하락 등 4가지를 꼽았다.

LG경제연구원은 3일 발표한 '노후 대비 부족한 고령층, 소비할 여력이 없다'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나이별 평균소비성향(가처분 소득 중 소비지출 비중)은 2008년과 지난해를 비교하면 60대와 70대는 각각 5.9%포인트, 6.8%포인트나 떨어졌다. 같은 기간 40대와 50대의 소비성향은 각각 1.9%, 2.3% 떨어졌고 39세 이하는 1.6%포인트 올랐다.

소비성향은 2000년에 60세이상이 가장 높고 그 다음 50대, 40대, 39세이하 순이었지만 지난해에는 40대, 39세이하가 높았고, 60대이상와 50대는 그 다음으로 떨어졌다. 보통 청장년층은 소득에 비해 소비를 적게 해 자산을 축적하고 고령층은 자산을 처분해 소비하기 때문에 소비가 많은 집단인데, 정반대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연구원은 고령층의 소비성향이 급락한 원인으로 첫째, 수명증가와 노후대비가 어려워진 상황을 꼽았다. 60세의 기대수명은 1990년 18.1년에서 2000년 20.4년으로 10년간 2.4년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2010년에는 23.9년으로 3.5년 더 늘었다. 기대여명의 증가는 은퇴후 소비기간을 늘리게 되고 미래소비를 위해 필요 자산을 증가시킨다.

둘째, 1990년대 이후 교육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노후 대비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대학진학률은 1991년 33.2%에서 2009년 83.8%까지 급증했고 최근 들어 다시 감소했지만 여전히 80%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중ㆍ고등학생 자녀를 둔 40대 가구의 사교육비 지출도 크게 늘면서 소득이 가장 높은 시기인 40~50대에 저축할 기회를 놓친 것이다.

셋째, 부동산 침체가 계속되면서 고령층의 자산손실을 키웠다. 60대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은 2006년 평균 2억7000만원에서 지난해 2억원으로 7000만원이 줄었다. 금융자산을 포함한 전체 자산도 3억2000만원에서 2억5000만원으로 감소했다.

넷째, 금융위기 이후 급격한 금리 하락이다. 금융위기 이후 2008~2012년 평균 실질금리인 1.8%가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60~74세 가구의 노후 생활비 충당을 위한 필요자산은 지난해 기준으로 평균 2억5000만원으로 추정된다. 만약 실질금리가 금융위기 이전 2000~2007년 평균 실질금리인 3.1% 수준을 유지했더라면 60~74세 가구의 필요자산 규모는 2억2000만원이 된다. 실질금리 하락으로 고령자 가구의 노후 생활을 위해 평균 3000만원의 자산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 고령층은 소득의 상당부분을 자녀에게서 받는 용돈 등 사적 이전소득에 의존했지만 이제는 부모 부양 인식이 약해지면서 사적 이전소득(농어가 제외한 1인 이상 전국 가구)은 2006년 월 31만7000원에서 지난해 20만원으로 줄었다. 국민연금, 기초노령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은 월 21만8000원에서 29만1000원으로 늘었지만 사적 이전소득의 감소분을 충당하지 못한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