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방문, 정몽구 현대차 회장과 악수하는 모습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바라보고 있다.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내세운 MB 정권의 각종 세제 혜택과 환율 정책, 규제 완화 조치 등에 힘입어 몸집을 크게 불린 대기업들이 실제 고용 창출에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는 성장해도 고용이 늘지 않는 ‘고용없는 성장’을 넘어서 ‘수퍼 공룡’이 된 대기업들이 고용 창출을 통한 사회환원에는 인색한 ‘소득없는 성장’이란 지적도 나온다.

◆ 덩치키운 재벌들 고용은 사실상 악화

28일 조선비즈가 기업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와 함께 국내 10대 그룹 주력기업의 고용유발계수를 조사한 결과 2008년부터 5년간 기업들은 급성장했지만 고용유발계수는 되레 떨어졌다.

고용유발계수는 매출 10억원당 기업이 몇 명의 고용효과를 거두는 지 알려주는 지수이다. 매출 증가가 어느 정도 고용 증가로 이어지는 지를 알 수 있다.

10대 그룹 주력사 전체로 보면, 매출은 2007년 말 총 209조원에서 지난해 364조원으로 73.8% 늘어났다. 같은 기간 직원 수는 28만4693명으로 15.7% 증가했다. 직원 숫자만 보면 재계가 강조한 대로 ‘고용창출’을 성공적으로 일궈낸 셈이다.

그러나 10대 그룹 주력사의 고용유발계수 평균은 2007년말 1.17에서 2012년 0.78로 0.39포인트 하락했다. MB정권 출범 직전에는 대기업들이 10억원을 벌 때 평균 1.17명을 고용했지만 지난해에는 0.78명으로 사실상 고용을 줄였다는 말이다.

고용유발계수는 MB정권 내내 하락했다. 연도별 고용유발계수를 보면 1.01(2008년)→0.98(2009년)→0.93(2010년)→0.87(2011년)→0.78(2012년)로 줄었다. MB 정권이 “성장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외치면 재계가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확대하겠다”고 말로만 화답한 셈이다.

국내 기업 최초로 매출 200조원, 영업이익 29조원을 기록한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표방한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방문한 전경련 간담회에서 재계 총수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