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쌍용건설 부도 시 하청업체·금융시장 충격”

-채권단, 지원방안 마련하면서 제3자 매각 추진

-캠코가 요구한 김석준 회장 해임은 채권단이 결정

쌍용건설채권단이 쌍용건설이 신청한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을 받아들여 다음 달 4일 워크아웃을 개시한다고 27일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채권단이 쌍용건설에 빌려준 1조5910억원 중 무담보 채권 3256억원을 출자전환(금융회사가 기업에 빌려준 대출금을 주식으로 전환해 기업의 부채를 조정하는 방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부도 위기에 몰린 쌍용건설은 다시 정상화 과정을 밟을 수 있다.

27일 금융당국과 은행업계에 따르면 금감원과 우리·산업·하나·신한·국민은행 등 5개 주요 채권은행 여신담당 부행장은 지난 26일 쌍용건설 문제와 관련해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김진수 금감원 기업금융개선국장은 이날 브리핑을 열고 “쌍용건설은 계열그룹을 제외하면 가장 큰 건설회사여서 (부도 시) 하도급 업체나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쌍용건설은 해외사업 비중이 크고 토목·플랜트 사업에 강점이 있기 때문에 정상화 방안을 모색해보자고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들 5개 은행은 쌍용건설 전체 대출의 약 절반을 갖고 있다.

김 국장은 이어 “채권단이 출자전환을 하면 무담보 채권 3256억원을 출자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하도급 업체 거래대금이나 공사대금 등은 채권단이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면서 추가로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쌍용건설 채권단은 다음달 4일 1차 채권금융기관 협의회를 열고 그때까지 채권행사를 유예하기로 했다. 올해 만기 도래하는 쌍용건설의 회사채나 공사대금 등은 채권은행이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면서 추가로 지원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우선 28일 만기 도래하는 전자어음 50억원과 3월말 만기 도래하는 어음 112억원은 쌍용건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지원한다.

채권단은 워크아웃과 함께 쌍용건설 매각도 추진한다. 김 국장은 “쌍용건설이 어느 정도 정상화되면 제3자에 매각해 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쌍용건설은 현재 자본전액잠식 상태여서 상장폐지 대상이다. 출자전환 등의 계획을 담은 수정보고서를 다음 달 중 제출하면 상장폐지는 면할 수 있다. 3월 말 최종 재무제표가 나오면 3개월간 상장폐지 실질심사를 통해 6월 말까지 주식 거래 재개 여부가 가려진다.

쌍용건설 워크아웃이 개시되면서 전체 채권단은 약 2000억원의 충당금을 추가로 쌓게 됐다.

채권단은 쌍용건설 최대주주였던 부실채권정리기금을 총괄 운영관리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도 채권단에 합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채권단은 캠코가 지난해 매입한 700억원 규모의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을 쌍용건설이 새로 발행한 기업어음(CP)과 교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금감원에 전달했다.

캠코는 지난해 쌍용건설 우이동 사업장의 ABCP를 매입했는데 이는 이 사업장의 시행사가 발행한 물량이다. 따라서 현재는 캠코가 쌍용건설 채권단에 참여할 의무가 없지만 쌍용건설이 발행한 CP로 교환하면 쌍용건설 채권단으로 참여할 이유가 생기는 것이다. 채권단은 그동안 캠코도 채권단에 참여해 쌍용건설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캠코는 이에 대해 “캠코는 여신기능이 없기 때문에 자금대여가 불가능하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캠코가 요구한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의 해임 건은 채권단이 결정하기로 했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지금은 쌍용건설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라며 “캠코는 김 회장의 해임을 계속 얘기하는데 채권단 입장에서는 김 회장 거취는 후순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