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을 진 가구 10곳 중 6곳은 앞으로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부동산을 처분하거나 주거를 변경하겠다고 응답한 가구는 10곳 중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금 원리금 상환액이 가계 총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과다부채가구는 부채보유가구의 13.1%를 차지했다.

25일 한국은행이 지난해 12월 3~28일 전국 도시가구 2119개를 대상으로 '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부가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부채보유가구 중 향후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응답한 가구는 62.3%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을 처분하겠다는 응답은 12.5%에 불과했다. 주택소유 욕구가 강해서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택지분 매각제'가 활성화되기 쉽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결과다. 소득으로 상환하겠다는 응답이 68.3%로 대부분이었다. 주거를 바꾸겠다는 응답이 7%, 금융자산 처분 및 퇴직연금 정산은 5%, 신규차입은 2.8%였다.

지난해 대출금 원리금 상환액이 가계 총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과다부채 가구는 부채보유가구의 13.1%였고 전체 가구 중에서는 7.7%였다. 원리금 상환액이 가계 총수입의 30~40%인 가구는 부채보유가구의 9.6%, 20~30%인 가구는 부채보유가구의 14.6%였다. 연체 경험이 있는 가구는 18%였으며 4회 이상 연체 가구는 4.7%였다. 주요 연체요인은 소득 감소(34.3%) 생활비 증가(23.8%)가 대부분이었다.

2012년 현재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고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57.1%였다. 대출 용도는 '거주주택 마련'이 34.3%로 가장 많았고 생활자금(25.4%) 전월세보증금(12.6%) 사업자금(12.2%) 등 순이었다. 은행 신규 또는 만기연장 대출의 주요 용도는 생활자금이 31.4%로 가장 많았다. 신규 및 만기연장 대출 신청가구 중 23%는 대출신청액 중 일부만 받았고 2.4%는 대출을 받지 못했다.

지난 1년 동안 주택 등 부동산 가격이 내렸다고 응답한 가구는 34.7%로 올랐다고 응답한 가구(24.4%)보다 많았다. 1년 후 부동산 가격이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한 가구는 54%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하락 전망(28.1%)이 상승 전망(17.9%)보다 우세했다. 반면 5년 후 부동산 가격은 38.1%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해 하락 전망(26.2%)을 웃돌았다. 여전히 부동산 불패신화를 믿고 있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이다.

기준금리 결정시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물가안정이라는 응답이 72.4%로 대부분이었다. 최근 한은이 강조하고 있는 경제성장(12.9%) 금융시장 안정(11.8%)을 꼽은 사람은 적은 편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물가안정과 금융시장 안정은 각각 1.5%포인트, 4.1%포인트 늘어난 반면 경제성장은 5.3% 감소했다.

정부의 경제정책 추진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물가 및 부동산 가격 안정이 41.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경제성장(29.5%) 고용확대(19.2%) 소득분배(9.4%) 등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경제성장이 8.1%포인트 증가한 반면 물가 및 부동산 가격 안정의 비중은 9.6%포인트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