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규모 개발금융) 대출 4000억원 규모를 나눠 떠안기로 한 것으로 알려져 적정성 논란이 일 전망이다.

비록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 대출이 주된 대상이고 은행들이 자발적으로 뜻을 밝혔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하지만 권혁세 금융감독원장 취임 후 첫 은행장 모임 직후 나온 말이어서, 결국 금융당국이 은행에 저축은행 PF대출을 순차적으로 넘겨 해결하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2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장과의 조찬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일부 은행들이 저축은행 PF사업장 중 정상화가 가능한 곳의 대출을 맡겠다는 뜻을 자발적으로 밝혔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의 PF대출 채권 잔액은 12조2000억원이다. 이 중 1조1000억원이 고정이하 대출(3개월 이상 연체)로 집계되고 있다. 권 원장의 설명대로 라면 일부 은행들이 떠안을 저축은행 PF 부실채권은 이 고정이하 대출을 제외한 나머지 10조원의 PF 대출 중 우량 자산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이 악성 저축은행 PF대출은 캠코(자산관리공사) 기금으로 사들이고 나머지 저축은행 PF대출은 일부 은행에게 넘기는 이원화 방식의 해결책을 검토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지난 20일 국회 저축은행 청문회에 출석해 "캠코 구조조정기금 5조2000억원에서 3조5000억원을 들여 저축은행 부실 PF채권을 매입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었다.

그러나 은행들 역시 이미 갖고 있는 부동산 PF 대출이 많아 이같은 방법은 은행 경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작년 말 국내은행 전체 PF 대출 규모는 38조7000억원이다. 이 중 농협이 7조1565억원 어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리은행 6조7348억원, 국민은행 6조2659억원, 외환은행 3조4991억원, 신한은행 4조1021억원, 산업은행 1조6090억원, 기업은행 1조5981억원 등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