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는 6일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미국 델라웨어 대학의 리처드 F. 헤크(Heck·79) 교수와 일본인인 네기시 에이이치(75) 미 퍼듀대 교수, 스즈키 아키라(80) 일본 홋카이도대 교수를 선정했다.
노벨 위원회는 "헤크 교수 등이 개발한 팔라듐 촉매(화학반응이 잘 이뤄질 수 있게 돕는 물질)를 이용한 탄소 결합반응은 현대 화학자들에게 가장 유용한 도구가 되고 있다"며 "이들의 연구 성과는 인류가 신약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혁명적 소재를 개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팔라듐 촉매반응은 의약품과 전자부품용 화합물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화학반응이다. 탁솔과 같은 항암제, 모르핀과 같은 진통제, 각종 소염제, 항암제, 천식 치료제를 비롯한 합성 약품은 물론 제초제와 유기LED(발광다이오드) 등에도 모두 사용된다.
자연계의 유용한 천연물질 중에는 탄소로 이뤄져 있는 유기화합물이 많은데, 화학자들이 이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과정에서 탄소와 탄소를 결합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968년 헤크 교수는 팔라듐 금속을 촉매로 사용하면 복잡했던 탄소 결합 과정이 쉬워진다는 '탄소 결합 형성 짝지움 반응'을 최초로 발견해 학계에 발표했다. 네기시 교수는 1977년 헤크 교수의 발견을 보다 대중화시켰고, 스즈키 교수는 1979년 이를 산업적으로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팔라듐 촉매법은 생산과정을 단순화할 뿐 아니라 에너지 소모와 환경오염 물질도 함께 줄이는 일거삼득(一擧三得)의 효과가 있어, 화합물 제조산업에 일대 혁신을 불러왔다. KAIST 화학과 장석복 교수는 "2000년대 들어 촉매에서만 일본인 화학자가 노벨상을 세 번 수상했다"며 "장인정신이 살아 있는 일본 연구 풍토가 탁월한 연구 성과를 가져 온 것 같다"고 말했다.
1000만 스웨덴크로네(약 16억7000만원)의 상금은 세명의 수상자에게 균등하게 나눠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