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자력본부 원전 1호기의 모습.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해 시행한 드론 대응 훈련에서 본부 4곳 중 1곳에서만 모든 드론을 탐지해냈다. 월성본부는 훈련에 RF스캐너도 사용하지 않았다./뉴스1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드론 테러 위협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는 국회의 지적이 나왔다. 원전 내 드론 방호 체계를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나, 제대로 된 훈련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의 ‘2023년 물리적방호 전체 훈련 결과 보고’를 입수해 한수원 산하 원전 본부 5곳 중 3곳이 드론 침투 대응 훈련에서 탐지에 실패했다고 9일 밝혔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은 지난해 한수원 각 본부에 드론 탐지·퇴치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했다. 드론 대응 훈련도 원전 테러 대응 훈련에 추가해 드론 방호 체계를 마련했다.

하지만 한수원이 지난해 시행한 드론 침투 대응 훈련에서 실제로 탐지에 성공한 곳은 한빛원전이 유일했다. 한빛원전은 RF스캐너로 드론 4대를 탐지했다. 반면 한울과 새울원전은 3대를 탐지해 3대를 놓쳤고, 고리는 모든 드론을 탐지하지 못했다. 월성은 RF스캐너를 사용한 훈련을 진행하지 않았다. RF스캐너는 드론에서 나오는 전파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해 드론을 탐지하는 장치다.

최 의원은 드론 식별을 위한 데이터 등록이 미흡하고, 탐지 장치의 주파수 방해와 비 훈련용 드론 사용으로 훈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고리원전은 드론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지 않았으며, 새울원전은 농업용 드론을 훈련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수원은 RF스캐너가 탐지하지 못한 드론은 모두 육안 탐지됐다고 보고했다. 최 의원은 크기가 작고 빠른 소형 드론은 그 특성상 경로를 미리 알지 못하면 실제 육안 탐지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올해 훈련도 원자력통제기술원이 한수원에서 제시한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해 알려주는 방식으로 진행돼 실질적인 훈련 효과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훈련이 한수원 선정 경로 한 곳을 이용했다면 올해는 4곳 중 한 곳을 선택하는 방식이었으나, 경로를 이미 알고 있다는 점에서 훈련의 의미가 크지 않다는 지적이다.

원안위는 RF스캐너로 모든 드론을 탐지키 어려운 한계 등을 감안해 훈련과 설비 등을 고도화하는 과정이며, 지난달 한수원에 이와 관련한 계획을 제출할 것을 공식 문서로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드론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군사 목적으로 활발히 활용 중이다. 한국도 드론 테러 위협을 크게 받고 있다. 원전 내 불법 드론 탐지 건수가 최근 5년간 513건에 달할 정도다.

최 의원은 “불법드론을 비롯해 북한의 오물풍선 등 공중 물체 출현이 갈수록 잦아지면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원전과 같은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방어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