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탄소에 대응하기 위해선 에너지원을 다양화하는 ‘에너지믹스’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태양광과 바람, 조력, 파력 같은 천연자원은 각자의 특징이 다르기에 조화롭게 쓰기 유용합니다”
데보라 그리브스(Deborah Greaves) 영국 플리머스대 해양공학과 교수는 14일 조선비즈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해상재생에너지(Offshore Renewable Energy·ORE)가 곧 에너지 안보”라고 말했다. 그리브스 교수는 이날 한국공학한림원이 개최한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한-영 정책기술포럼’에 연사로 나섰다.
그리브스 교수는 해상 재생에너지를 위해 20년 넘게 해양공학을 연구해온 권위자다. 그는 영국의 해양재생에너지 개발을 주도하는 ‘슈퍼젠(Supergun) ORE 허브’ 프로그램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주로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의 공학·물리과학연구위원회(EPSRC)의 지원을 받아 해상풍력과 조력, 파력 관련 기술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슈퍼젠 ORE 허브의 핵심은 학계와 산업계, 정계에 걸쳐 해상재생에너지 연구 성과를 연결한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2018년 900만 파운드(149억원)의 자금을 지원받아 올해 6월 1단계를 종료했고, 400만 파운드(66억원)를 받아 2027년까지 2단계 사업을 진행한다. 영국은 2030년까지 해상재생에너지 발전량을 50GW로 늘려 가정에서 쓰는 전기를 충당할 계획이다.
그리브스 교수는 “영국은 탈탄소화를 위한 에너지 경제에 강력한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며 “2035년까지 탈탄소화된 전기생산을 완료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없는 ‘넷제로’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국이 해상재생에너지에 유리한 건 해안선이 길어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기 유리한 환경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섬나라인 영국 못지않게 한국도 해상재생에너지 발전이 유리하다고 그리브스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한국도 대륙에 있는 국가들에 비하면 해상재생에너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며 “주로 사용하는 원자력은 핵폐기물 문제가 있어 환경 오염을 감소시킨다고 보기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해상재생에너지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도 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초기 투자의 어려움이나 어획 활동에 방해받는 어민들의 반대가 걸림돌이다. 결국, 해상재생에너지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부지 선정과 국민의 공감대를 아우르는 장기적인 계획이 중요하다.
그리브스 교수는 “생산 단가가 낮아지고 있는 만큼 재생 에너지는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해상 공간을 제대로 계획하면서 해상재생에너지에 대한 잠재적인 이슈를 줄이며 공공의 허가와 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영국은 언제나 한국 정부기관과 해상재생에너지와 관련해 협력의 문을 열어놓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