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첨단소재 기술의 조기 확보를 위해 투트랙으로 연구개발(R&D)을 진행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제5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첨단소재 R&D 발전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국의 첨단소재 기술 수준은 미국, 일본에 이어 중국에도 추월당했다. 첨단소재 기술력 저하는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첨단소재 기술의 조기 확보를 위해 100대 첨단소재와 100대 미래소재로 구분해서 투트랙으로 R&D를 진행하기로 했다. 우선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100대 첨단소재를 발굴해 향후 5년 내외로 조속히 원천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 10년 이상의 중장기 미래 기술 혁신에 대비해 100대 미래소재 원천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을 중심으로 소재 분야 연구자와 수요기업, 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첨단소재 기술 성장 협의체’도 만든다.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을 저해하는 기술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원천기술 매칭·고도화, 스케일업 기술난제 해결 등을 지원하는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 R&D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소재 연구에 도입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소재 연구 인력양성과 글로벌 연구 협력도 강화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과학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첨단소재 분야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주요 전략기술분야의 기술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원”이라며 “이번 전략을 토대로 과학기술 관점에서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와 미래를 고려한 소재 원천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