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비서관이 기술사업화 전문회사를 도입해 선순환 매커니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과 대학 사이의 벽을 허물어서 협력할 수 있는 체제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은 19일 오후 서울 중구 포시즌스 호텔 서울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고도화 대토론회’에 참석해 ‘윤석열 정부의 국가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업그레이드 전략’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박 수석은 3대 게임체인저 기술(AI-반도체, 첨단바이오, 양자) 대통령 이니셔티브 수립, 국가AI위원회·국가바이오위원회 등 거버넌스 구축, R&D(연구개발) 예비타당성 조사 폐지, 이공계 대학원생 연구생활장려금 등 과기수석실 설립 이후 300일 동안의 성과를 소개하며 “우리의 혁신생태계는 세계 최상위권이지만, 몇 가지 묵은 약점들이 있어서 정부 후반기에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은 특히 출연연이 개발한 기술을 기업의 성과로 연결하는 기술사업화와 대학·출연연의 공공연구부문 혁신을 강조했다. 그는 “기술사업화와 관련해 산업부와 교육부, 과기정통부가 각각 법을 가지고 있다보니 분산돼서 운영되고 있다”며 “관련 부처 간 협의체를 만들어서 벽을 허물고 손을 보겠다”고 말했다.
박 수석은 “기술사업화 전문회사를 도입해 경쟁 구도를 만들고, 연구 참여자와 기여자 간 인센티브를 정비해서 공공 부문이 번 돈으로 다시 공공 부문에 투자하는 선순환 매커니즘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출연연과 대학 간 벽을 허물고 공공연구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밝혔다. 박 수석은 “글로벌 탑 전략연구단을 만들고, 출연연 총 인건비와 정원도 자율적으로 바꿨는데 잘 이행되지 않고 았어서 점검하고 있다”며 “대학도 교육은 학과 단위로 하더라도 연구는 융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교육부와 함께 대학부설연구소 사업을 설계했다”고 말했다. 그는 “출연연과 대학 간 벽도 허물어서 인력와 연구시설, 장비를 협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박 수석은 선도형 기초연구로의 질적 전환, 글로벌 과학기술협력, R&D 매니지먼트 선진화 등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박 수석의 기조강연 이후에는 각 주제별로 이영국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한국화학연구원 원장), 이준호 자문회의 산하 기초연구진흥협의회 위원장(서울대 교수), 주영창 서울대 교수, 이삼열 연세대 교수, 오태석 서강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토론이 진행됐다.
최양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그간 우리는 추격형, 개도국형 R&D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나 이제는 선도형 과학기술 혁신생태계로의 전환이 필수적인 시점”이라며 “자문회의는 이번 토론회와 같이 연구현장과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수렴 활동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