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9월 24일 미국 뉴욕 메트로테크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개소식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홍진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원장, 얀 르쿤 교수(공동소장), 유상임 장관, 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 한욱신 포항공대 교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인공지능(AI) 신진 연구자 육성을 위해 내년부터 도입하는 ‘AI스타펠로우십’에서 서류 심사 과정을 대폭 간소화했다. 삼성전자가 운영하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벤치마킹해서 연구자에게 부담이 되는 불필요한 서류 작업을 크게 줄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내년부터 2030년까지 6년 동안 예산 460억원을 지원하는 AI스타펠로우십 사업에서 사전평가 때 제출하는 제안서를 3페이지 이내로 쓰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AI와 AI융합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신진 연구자를 발굴·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사후연구원이나 임용 5년 이내의 전임교원 같은 신진 연구자가 프로젝트 리더를 맡아서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R&D 과제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과기정통부는 AI스타펠로우십 선정 과정을 서류심사인 사전평가와 발표심사인 본평가로 나눠 진행한다. 기존 정부 R&D 사업은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워낙 많아서 연구자들의 시간을 많이 차지했다. AI스타펠로우십 선정은 이런 불필요한 서류 작업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이고 대신 연구 주제의 독창성과 산업적 영향력, 연구자의 최근 연구 성과 같은 핵심적인 내용만 살피기로 한 것이다.

이런 파격적인 변화는 삼성미래육성재단을 벤치마킹한 결과물이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삼성전자가 2013년부터 1조5000억원을 출연해 운영하는 연구 지원 사업이다. 아이디어의 창의성과 결과의 파급력을 중심으로 지원 대상을 뽑는데 서면 심사는 2페이지짜리 연구계획서만으로 진행한다. 이후 국내 발표심사와 해외 심사를 거쳐 지원 대상을 선정한다.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지난 4월 서울 서초구의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을 직접 방문해 정부 R&D 제도에 대한 조언을 들었다. 당시 류 본부장은 “삼성이 R&D 지원 대상자를 어떻게 선정하는 지 공부하고 왔다”며 “단 2페이지 서류만으로 심사를 하고, 외국인 연구자가 주심을 맡아서 심사를 진행해 공정성과 수월성을 모두 잡은 게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삼성의 R&D 선정 방식을 도전적인 연구와 젊은 연구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한 AI 분야에 먼저 접목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은 서류자료 부담을 최소화하고 독창성, 산업적 영향력, 연구진 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할 것”이라며 “연구진 구성과 아이디어 중심의 사전평가를 통해 제안서 부담을 줄여주겠다”고 밝혔다.

AI스타펠로우십 사업은 AI 분야의 젊은 연구자가 산업계와 학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자율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이다. AI 인재 육성을 위해 프로젝트 별로 석·박사 과정 학생이 4명씩 참여하도록 했다. 연구 성과가 우수한 학생은 기업이나 해외 연구기관에 파견도 갈 수 있도록 했다.

과기정통부는 1단계 구간인 3년 동안 4개 컨소시엄을 선정해 매년 20억원을 지원하고, 이후 우수 컨소시엄 2개를 뽑아서 나머지 3년 동안 매년 40억원을 집중 지원한다. 이미 AI스타펠로우십 내년 예산 60억원을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안에 담아 국회에 제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