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구리 단원자 촉매 전극 표면에서 일어나는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실시간 관찰했다. 또 이산화탄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활성 촉매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데도 성공했다.
KAIST는 박정영 화학과 교수 연구진이 이산화탄소 전기환원 과정에서 구리의 단원자 금속 촉매가 분해되는 과정을 원자 단위로 실시간 관찰하고, 주된 반응의 활성자리임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대기 중의 온실가스를 제거하고 미래 청정 원료를 생산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화학적 전환 기술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산업계 체제 전환 대응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단원자 전이 금속 촉매가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차세대 촉매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으나 아직 화학반응의 메커니즘과 촉매 활성 부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고성능 촉매를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구리 기반 촉매를 사용하면 열역학적 방법으로는 불가능한 고부가가치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어 연구활용 가치 기대가 매우 높다. 이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은 일산화탄소, 메탄, 에탄올, 수소 등의 다양한 생성물들을 함께 만들어 낼 뿐만 아니라 촉매 표면 구조의 변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극 표면에서 일어나는 이산화탄소의 환원반응 경로와 표면 구조 거동 분석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나 액체 전해질 환경에서 반응이 이루어지는 탓에 분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구진은 전기화학 주사 터널링 현미경(EC-STM) 분석법을 적용해 단원자 구리금속 촉매 표면에서 일어나는 이산화탄소 환원반응을 관찰하고, 이때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구리 나노 복합체가 주된 반응 활성자리임을 시각적 증거로 확인했다. 연구진은 구리 전극 표면이 이산화탄소 전환과정에서 환원되며 반응 활성도 및 촉매 표면 구조가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해 액체-고체 계면에서 단원자 구리금속 촉매 전극과 반응하는 이산화탄소 분자의 분해 과정을 실시간 원자 단위로 포착했다.
박정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액체-고체 계면 분석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단원자 구리금속 기반 촉매 표면의 이산화탄소 전기환원 반응 현상을 원자수준으로 관찰하고, 이를 통해 촉매 물질의 활성자리를 결정하고 정밀한 화학반응 경로 설계가 가능하다”며 “이러한 기술성과는 차후에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전환 연구 외에도 탄소중립 정책을 위한 다양한 촉매 소재 연구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지난달 29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으며 최근 내부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참고 자료
Advanced Science(2023), DOI: https://doi.org/10.1002/advs.202304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