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2014년 이후 꾸준히 감소했으나 2021년 기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 기준보다 4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시카고대 에너지정책연구소(EPIC)는 28일(현지 시각)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대기질 생명 지수(AQLI) 보고서’를 발표했다. 대기질 생명지수 보고서는 전 세계 200개국의 대기 질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기대 수명의 변화 정보를 담은 보고서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의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입방미터당 20.4㎍로 나타났다. 2014년 보다 15.4% 감소해 최근 88년 사이 가장 낮은 수치다. 그러나 WHO가 권고하는 미세먼지 농도 기준인 평방미터당 5㎍의 4배에 달하는 만큼 한국인의 평균 수명이 1.1년 감소할 정도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인구 분포에 따라서도 전체 인구의 98%가 사는 지역이 국가 대기질 기준인 평방미터당 15㎍ 이상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인천 계양, 부천, 인천 부평에서 대기 오염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미세먼지 농도 감소는 인근 나라인 중국의 영향도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도 2013년부터 미세먼지 농도가 40% 이상 감소했다. 그러나 여전히 연평균 평방미터당 29㎍ 수준으로 대기오염으로 건강에 악영향이 심한 국가 6곳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대기오염이 가장 심한 지역으로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나이지리아가 꼽혔다. 보고서에서는 “남아시아는 2013년 이후 미세먼지 농도가 10% 증가했다”며 “이 시기 남아시아의 기대 수명은 약 5년, 동남아시아는 2~3년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대기오염의 지역별 편차가 커진 이유로는 기반시설(인프라)의 차이가 지적됐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10% 미만의 국가 만이 대기 질 데이터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아시아의 35.6%, 아프리카의 4.9%에 해당하는 국가만 대기질 기준을 세우고 있었다.
크리스타 하센코프 AQLI 이사는 “시의 적절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기질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며 “각국 정부에 대기질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프라 구축이 늘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