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이정수 책임연구원 연구진이 타우단백질을 없앨 수 있는 새로운 치매 치료법을 찾았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과 미국 공동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이 되는 타우단백질을 없앨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이정수 책임연구원 연구진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류훈 박사 연구팀, 미국 보스턴 의과대학 이정희 교수 연구팀과 함께 발로신 함유 단백질(Valosin-Containing Protein, VCP)이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되는 타우단백질을 어떻게 제거하는지 알아냈다고 18일 밝혔다.

타우병증은 타우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응집하고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병군이다. 알츠하이머병, 전두측두엽 치매, 진행성 핵상마비 등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이 이에 속한다. 알츠하이머병은 대표적인 치매 중 하나로 명확한 치료제가 없는 난치질환이다.

연구팀은 동물모델에서 인간 타우단백질 발현에 따라 VCP 발현도 함께 변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VCP는 단백질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신경계와 근골격계에서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과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희소질환인 다기관 단백질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동물모델에서 VCP 발현이 감소하면 타우단백질의 축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VCP 발현이 증가할 땐 타우단백질의 응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마우스 모델에서는 알츠하이머병 치매 관련 해동도 개선됐다.

연구팀은 VCP가 자가포식하는 과정에서 타우단백질을 제거하는 것을 확인했다. VCP 활성촉진제인 ‘SMER-28′과 자가포식 활성촉진제 라파마이신을 함께 투여하면 타우단백질 제거 효과가 더욱 강해지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이정수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아직 명확한 치료제가 없는 알츠하이머병 등의 타우 관련 퇴행성뇌질환 치료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는 것”이라며 “다양한 퇴행성뇌질환의 치료제 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참고 자료

Neuropathologica(2024), DOI : https://doi.org/10.1007/s00401-024-02804-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