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뉴스1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신종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이르면 5월 공개하기로 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신종 감염병의 감시, 초기대응, 대규모 유행관리, 일상회복, 치료제·백신 연구개발, 법·제도 개선 등 각 분야에 대해서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하여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최종 확정된 계획은 공개 토론회,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서 5월 초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질병관리청은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 계획을 오는 5월 초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임 단장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신종 감염병 대유행의 위험은 계속해서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국내에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에 이어 신종플루,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19와 신종 감염병 유행 사태가 발생했고 주기는 점점 줄어들고 피해 규모는 더 커지는 등 감염병 대유행에 대한 미래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실제로 사스가 2003년 발발한 이후 신종플루는 2009년 메르스는 2015년, 코로나19는 2019년 발생하면서 신종 감염병 발생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다.

임 단장은 “이런 상황에서 3년간의 코로나 대응에 대해서 평가를 통해서 미비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신종 감염병의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방역체계를 전면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들었다”며 “대유행에 대한 대비는 국민 건강과 사회 안전의 필수적인 사항으로 해외 주요국과 국제기구도 이와 같은 계획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다음 번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은 팬데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병원체를 신속하게 탐지하는 능력을 확보하고 모듈식 백신 공장 기술을 확산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는 야생 동물에서 넘어오는 미래 감염병을 차단하기 위한 솔루션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임 단장은 “지난 3년간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백신·치료제와 같은 대응 수단을 신속하게 확보하고, 대규모의 장기간 유행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방역·의료대응 역량을 확충하고 취약계층을 두껍게 보호하며 안전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려고 한다”고 말했다.

임 단장은 “우선 신종 감염병에 대한 감시체계를 공고하게 만드는 부분이 중요하다”며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기 전에 3T(검사·추적·치료)로 시간을 벌고,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부분이 계속해서 보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 단장은 또 “유행 규모가 커졌을 때 병상을 포함한 의료대응도 만반의 대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다”며 “사회 대응의 측면에서 그간에 여러 가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들을 만들었는데 이런 조치의 정합성이나 그에 따른 피해보상 문제를 같이 검토해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 단장은 “다음 팬데믹 때는 백신·치료제를 조금 더 신속하게 개발하고 이를 통해 감염병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며 “영역별로 개선과제를 발굴해서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하고 전문가 논의 거쳐서 저희가 종합계획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