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부터 시멘트 가격이 인상되면서 아파트 공사비가 평당(3.3㎡) 1000만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미 부산에서는 착공 직전 시공사가 공사비를 평당 1000만원에 가까운 수준으로 통보해 조합이 계약을 해지하는 일이 발생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나흘 뒤엔 7월부터 주요 시멘트 업체들이 가격인상을 단행할 예정이다. 국내 시멘트 물량의 35%를 차지하고 있는 쌍용E&C와 성신양회는 7월부터 시멘트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쌍용E&C는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톤(t)당 10만4800원에서 11만9600원으로, 성신양회도 10만5000원에서 12만원으로 올릴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삼표시멘트 등 나머지 시멘트 회사들도 줄줄이 가격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시 송파구의 한 아파트 공사 현장./조은임 기자

시멘트 업체들이 가격을 상승시키는 주된 배경으로는 산업용 전기료 상승이 꼽힌다. 전기료는 시멘트 제조 원가에서 약 20%대의 비중을 차지한다. 전기료는 2년 기준으로 누적 인상률이 44%에 달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5월 전기료는 2021년 5월 대비 39.6% 상승했다.

이달 중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나서 시멘트 가격 인상 저지에 나서기도 했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지난 16일 원 장관은 경기도 의왕시 시멘트 유통기지 현장 방문, 현장에서 과도한 가격인상에 부정적인 언급을 했지만 시멘트 업체들은 가격인상을 강행할 분위기다.

주요 시멘트 기업 관계자는 “전기료는 물론 탄소중립, 미세먼지 감축 등 여타 환경 규제 등으로 인해서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자체적으로 감당하기에는 한계에 부딪혔다”고 했다.

실제 정비사업 현장에서는 공사비가 평당 1000만원에 이르는 수준으로 언급되기 시작했다. 부산시민공원 촉진 2-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조합은 임시 시공사인 GS건설과의 계약을 해지했는데, 그 이유는 공사비 인상 때문이었다. 당초 공사비는 평당 549만5000원이었는데 지난 3월 GS건설 측에서 987만 2000만원을 제안, 갈등이 생기기 시작했다. GS건설 측은 지상 69층 주상복합으로 건설될 예정이라 공사비가 높게 책정됐다고 이유를 언급했지만 조합에서는 과다 책정으로 본 것이다.

이외에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2구역재개발은 이달 초 공동시공단인 삼성물산, DL이앤씨로부터 조합원 요청 마감재 수준으로 평당 859만원의 공사비를 제안받았다. 기존 490만원에 비해 과도하게 올라 조합은 재산정을 통보한 상태다.

정비업계에서는 원자재, 인건비 인상 등으로 이제 공사비가 평당 1000만원에 이르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업계에서 자재비 상승이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다”면서 “계획단계에서 산정된 공사비와 실행단계의 소요비용 차이로 발주단계부터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