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野) 6당이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절차에 돌입한 가운데 탄핵안의 운명은 여당인 국민의힘의 ‘이탈표’ 규모에 달렸다는 전망이 나온다.
탄핵안이 가결되려면 재적의원 300명 전원 출석을 기준으로 200명이 찬성해야 한다. 따라서 범야권 192명이 전원 찬성표를 던지더라도 여당인 국민의힘에서 8표 이상의 이탈표가 나와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시선이 집중되는 것은 친한(한동훈)계 18명이다. 이들은 전날 국회가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의결을 위해 개최한 본회의에도 참석해 야당 의원들과 함께 찬성표를 던졌다.
다만 그동안 탄핵을 반대한다고 밝혀 온 친한계는 계엄 사태 이후에도 표면적으로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박정훈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야당이 발의했던 특검은 받더라도 대통령 탄핵만큼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며 “이재명 대표가 법의 심판을 완전히 받을 때까지 현 정부는 시간을 벌어줘야 한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야당은 대통령실에 변화와 쇄신을 요구하며 일정 부분 각을 세웠던 친한계의 이탈표를 기대하고 있다. 개혁신당의 이준석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친분 있는 (여당) 의원 5∼6명과 개인적으로 소통했을 때 탄핵안에 대해 국민 뜻을 따를 수밖에 없지 않겠나 했다”며 “탄핵안 통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전례를 기억하며 탄핵만은 막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박 전 대통령 탄핵이 보수 진영의 분열과 궤멸로 이어졌다는 인식에서다. 소수 여당인 국민의힘은 그동안 민주당이 강행 처리한 ‘채상병 특검법’, ‘김건희 여사 특검법’, 쟁점법안 재표결 때 대체로 단일대오를 유지하며 방어에 성공해왔다.
하지만 이번 계엄 사태의 경우 부정적 여론이 확산하고, 당내에서도 윤 대통령 책임론이 분출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꼽힌다. 더구나 탄핵안 표결은 무기명으로 이뤄져 결과를 예측하기도 더 어렵다.
여권 내 분수령은 이날 오후 열리고 있는 당정대 회동이다. 한동훈 대표는 이번 사태의 후속 대응책으로 ‘내각 총사퇴, 국방부 장관 해임, 대통령 탈당 요구’를 제시했다. 이를 대통령실이 수용할 경우 여당 내 계파색이 옅거나 소장파로 분류되는 의원들의 이탈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지난 2016년 12월 9일 박 전 대통령 탄핵안 표결 당시에는 찬성표가 234표 나와 가결됐다. 국민의힘 전신이었던 당시 새누리당은 비박(박근혜)가 주축이 된 비상시국위원회가 탄핵에 찬성 입장을 밝혀 33명 찬성표를 확보했다고 공개했었다. 야권과 무소속 의원이 172명이었기에 탄핵안 가결이 쉽게 예상됐지만, 이번에는 야권도 가결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