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와 기자회견을 두고 당내 친윤석열계와 친한동훈계 반응이 뚜렷하게 엇갈렸다. 친윤계는 “대통령이 할 수 있는 모든 걸 했다”며 긍정평가하고 당정이 힘을 모아 국정 동력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친한계는 구체적인 쇄신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며 “사과의 진정성이 제대로 느껴지지 않았다”고 혹평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별다른 입장 표명 없이 침묵했다. 윤 대통령 입장표명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면서 윤-한(윤 대통령과 한 대표) 갈등에서 번진 당 내홍이 봉합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친윤계’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끝난 후 입장문을 내고 “국정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여러 국정 현안에 대해 진솔하고 소탈하게 말씀했다”며 각종 의혹과 논란에 대해서도 “겸허히 사과했다”고 평가했다. 또 윤 대통령이 국정쇄신·당정소통 강화·인적쇄신 의지를 밝혔다고 강조했다. 추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대체적으로 의원들도 제가 말한 평가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안다”고 했다.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 출신인 강명구 의원도 “윤 대통령은 할 수 있는 모든 걸 했다. 본인과 영부인 처신의 문제에 대해 적절하지 못했다, 바꿔나가겠다고 약속하지 않았나”라며 “국민께 사과한 건 사과한대로 의미가 있다”고 했다. 또 “구명로비 의혹,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세관 마약 수사 외압 등은 공작이라는 게 밝혀지고 있는데 대통령이 그런 의혹에 하나하나 반박하는 게 맞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인적 쇄신도 국정 공백을 야기하면서까지 할 순 없다. 어느 시점에 하겠다고 했는데 앞으로 국정쇄신, 인적쇄신을 어떻게 해나가느냐에 따라 (당이) 뒷받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이 한 대표와의 갈등에 대해 “열심히 일하는 것을 통해 선공후사로 그런 문제(갈등)는 풀어가는 것”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 강 의원은 “‘우리끼리 싸울 때가 아니라 야당의 공격에 맞서 우리가 함께 싸울 때’라는 러브콜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대국민 담화 중 국민들에게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뉴스1

반면 친한계는 사과나 인적 쇄신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와 방향이 보이지 않았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았다고 평했다.

조경태 의원은 “국민 눈높이에 전혀 맞지 않는 최악의 기자회견이었다”며 “누구한테 사과하는지도 모르고 사과하는 게 어딨나. 그 자체만 봐도 사과에 대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늘은 명태균 문제나 여사 문제 등에 대해 국민께 사과하는 자리였다”며 “아내보다 대한민국 국민을 더 사랑한다는 진정성이 느껴졌어야 했는데 그렇지 않은 게 참 아쉽다”고 했다.

또 강기훈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 지난 6월 음주 운전에 적발됐지만 정직 2개월 중징계 후 최근 대통령실에 복귀한 것을 두고도 강하게 비판했다. 강 행정관은 한 대표가 이른바 ‘김건희 여사 라인’이라며 인적 쇄신 대상으로 요청한 인물이다. 조 의원은 “’음주운전’ 논란된 행정관을 복귀시키는 게 말이 되나. 대통령실 여사 라인 인적 쇄신은 물 건너간 거나 다름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당의 대응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조 의원은 “(특검도) 여러가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봐야 한다”고 했다.

또 다른 친한계 관계자는 “진일보한 사과 태도였다”면서도 “김 여사 관련 리스크를 사과만 할 게 아니라 어떻게 조금 더 잘 관리할 것인지 더 명확하게 얘기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어 “(대통령실) 후속 조치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친윤계와 친한계 반응이 뚜렷하게 갈리면서 특별감찰관 추진 등 당의 대응을 두고 갈등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추 원내대표는 한 대표가 주장하는 ‘특감 추진’에 대해 이날도 “의원들의 뜻을 모아가면서 결정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반면 한 대표는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침묵하고 있다. 앞서 한 대표는 ‘명태균 사태’와 윤 대통령 국정 지지율 하락 등 당정 위기 극복을 위해 윤 대통령에게 대국민 사과와 대통령실 전면 개편 및 과감한 쇄신 개각, 김 여사 대외활동 전면 중단 등을 요구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