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총선을 70여일 앞두고 여야의 중량급 후보자들이 서울 중·성동구로 모이고 있다. 중·성동갑의 경우 3선 중진인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서초을로 지역을 바꾸면서 ‘빈집’이 된 데다, 지난 총선 당시 초선 박성준 민주당 의원이 초접전 끝에 당선된 중·성동을도 여권에서 탈환이 가능할 거란 기대가 높아져서다.

중·성동갑에는 윤희숙 국민의힘 전 의원과 권오현 전 대통령실 행정관,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도전 의사를 밝혔다.

중·성동을에는 4선에 도전하는 하태경 의원부터 여권의 대표적 경제통인 이혜훈 전 의원, 민주당에선 86 운동권 그룹 대표 주자인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까지 중량감 있는 원내외 인사들이 속속 출사표를 냈다.

그래픽=손민균

부산 해운대구를 떠나 험지 출마를 선언한 하태경 의원은 29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당에서 ‘수도권 인물난’을 고려해 지역구를 조정해주면 좋겠다는 요청을 받았다”며 중구·성동을 출마를 선언했다. 하 의원은 “당에서 (한강과 맞닿은) ‘한강 벨트’가 전략 지역이라는 점을 강조했다”며 “중구·성동을이 한강 벨트 중심지에 있기 때문에 거기서 역할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 “당 지도부에 제 의사를 선명하게 말했다”며 “(지도부에서) 2차 조정 이야기는 없었다. 제가 뛰어도 되겠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 지역에는 3선 출신 이혜훈 전 의원에 이어 이영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출마 의사를 밝히고 선거를 준비 중이다. 국민의힘 공천 과정에서만 하태경·이혜훈·이영 간 3파전 구도가 만들어진 셈이다. 하 의원은 이 전 장관의 중구·성동을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다”며 “당에 중구·성동을 출마 의사를 표시할 때 내정된 사람이 있느냐고 물었더니 ‘없다’는 답을 명확히 들었다”고 했다.

이 전 장관도 같은 날 중·성동을 출마를 선언하고 선언문에서 “지역별 맞춤형 발전 전략과 10년, 30년을 내다보는 종합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또 “평생 소상공인으로 사신 부모님 밑에서 자라 제 손으로 창업한 기술 벤처기업을 20년간 경영한 기업인”이라며 “‘이론 경제통’으로는 안 된다. ‘실물 경제 해결사’가 강남에서 기업과 사람이 이사 오고 싶은 중·성동구를 만들겠다”고 했다. ‘이론 경제통’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출신 이혜훈 전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중·성동갑에선 ‘경제통 대 86운동권’ 대결이 성사될 수 있다. 국민의힘에선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출신 윤희숙 전 의원이 전날 출마를 선언했다. 민주당에선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이자 전국대학생연합회(전대협) 3기 의장을 지낸 86그룹 대표 주자 임종석 전 비서실장이 일찍이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민주당은 현역이 불출마하는 이 지역을 전략 선거구로 지정했는데, 현재 민주당 예비후보 중 대중적 인지도를 갖춘 인물은 임 전 실장이 전부다.

◇여야 번갈아 당선…중도층 표심이 최대 변수

성동구는 수도권에서도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한강 벨트’ 중 한 곳이다. 단일 선거구였던 성동구가 갑·을로 분구된 건 2004년 17대 총선부터다. 당시 성동갑과 성동을 모두 열린우리당(민주당 전신) 최재천 후보, 임종석 후보가 각각 당선됐다. 반면 4년 뒤 18대 총선은 두 지역에서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진수희·김동성 후보가 나란히 이겼고, 2012년 19대 때는 또다시 민주통합당(민주당 전신) 최재천·홍익표 후보가 두 지역을 탈환했다.

이후 2016년 20대 총선 당시 인구가 미달한 중구와 통합돼 중·성동갑, 중·성동을로 나뉘게 됐다. 중·성동갑의 경우, 이때부터 홍 원내대표가 내리 당선돼 최근에는 국민의힘 험지로 분류됐다. 중·성동을은 20대 때 지상욱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후보가, 21대 때는 박성준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다. 선거구 조정 후 여야가 한 번씩 득점한 셈이다.

동일 선거구로 묶인 중구도 마찬가지다. 성동구와 통합 전인 18대 총선에선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19대 총선에선 정호준 전 민주당 의원이 번갈아 이겼다. 민주당 현역들의 대항마로 나선 여당 후보 다수가 비윤(非윤석열)계인 점도 이와 무관치 않다. 중도층 민심을 공략하려면 국민의힘 내에서도 합리적 이미지의 인물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