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4일 문재인 전 대통령이 감사원의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관련 질문지 수령 거부와 ‘무례한 짓’이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전직 대통령이라고 특권을 가질 수 없다고 비판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 시작 전 국회에서 연 국감 대책 회의에서 문 전 대통령을 향해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법 앞에 평등하다”며 “전직 대통령이라고 해서 특권을 가질 수 없고, 저는 (조사에) 응해야 하는 게 당연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감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감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 원내대표는 문 전 대통령의 질문지 수령 거부에 대해 “오히려 당황스럽게 무례하다고 화를 내신 것을 보고 정말 해수부 공무원 피살 사건에 문제가 많나”라며 “문제가 없으면 있는 그대로 말하고 답변하면 될 텐데, 왜 저렇게 과민반응을 보이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지금까지 감사 과정에서 드러난 것을 보면 6시간 이상 조치할 수 있는 시간이 있었는데도 그에 대한 조치가 전혀 없었다”며 “대통령실 조치가 어땠는지 묻고 조사하는 것은 국민의 권리이고, 그 직을 맡았던 분은 답변하는 게 의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 원내대표는 전직 대통령들도 감사원의 질문에 응하고 수사한 사실을 언급하며 “문 대통령께선 전직 대통령으로서 특권을 인정해달란 말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오히려 이렇게 성을 내는 게 훨씬 이상해 보인다”고 말했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도 이날 국감 대책 회의에서 문 전 대통령을 향해 “서해 공무원 피격 시에 문 전 대통령께서 어떻게 판단하고 조치했는지 감사원에서 서면조사를 요구하는 것은 정당한 절차”라며 “문재인 전 대통령만 성역인가. 대통령직을 수행한 사람으로 부끄럽지 않나. 떳떳하다면 당당하게 조사에 임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성 의장은 문 전 대통령이 고인의 아들이 보낸 편지에 답한 내용을 언급하며 “지금이라도 문 전 대통령은 대답해야 한다. 국민의 생명을 책임지는 국정 최고 책임자가 북한에 의해 우리 국민이 총살당하고 시신이 불태워질 때 어떻게 보고받고, 어떤 조치를 했는지 국민이 묻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끝으로 성 의장은 재차 문 전 대통령을 향해 “탄핵 직후 대선 후보 시절 팽목항을 방문해 방명록에 ‘미안하다. 고맙다’라고 쓰신 적이 있다. (그런데) 피살당한 서해 공무원에게는 왜 이리 야박한가”며 “전직 대통령으로서 떳떳하게 조치했다면 당당하게 조사에 임해달라”고 강조했다.